이전 재생 정지 다음

닫기

지식 FAQ

  • 동물별
  • 분야별
    • Oxygen-Induced Retinopathy(OIR) 모델은 어느 동물종에서 구축이 가능한가요?
    Print
  • UV, 소독제, 화학물질 접촉 등 피부에 각질을 유발하는 다른 요인이 없었다면 면역부전마우스에서 병원성을 일으키는 Corynebacterium bovis 감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병변이 있는 피부나 인후두에서 채취한 검체로 PCR 검사를 진행하거나, 배양 후 MALDI-TOF MS, API Kit Test, 16S rRNA Sequencing을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전염성이 강하고 근절하기 어려운 세균이므로 감염된 동물의 실험 지속 여부에 대해서는 반드시 기관과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림 1. Corynebacterium bovis에 감염된 누드 마우스

    (출처: Hedrich H. The Laboratory Mouse. 2nd ed. Academic Press; 2012:486.)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NSG로 번식과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데 동물상태가 좋지 않아요. 무슨 문제가 있을까요?
    • 1. Manuel CA, Bagby SM, Reisinger JA, et al. Procedure for Horizontal Transfer of Patient-Derived Xenograft Tumors to Eliminate Corynebacterium bovis. J Am Assoc Lab Anim Sci. 2017;56(2):166-172.
      2. Fagre AC, Pugazhenthi U, Cheleuitte-Nieves C, et al.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orynebacterium bovis Isolates from Immunodeficient Rodents. Comp Med. 2021;71(3):210-214.
      3. Pearson EC, Pugazhenthi U, Fong DL, et al. Metaphylactic Antibiotic Treatment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Corynebacterium bovis to Immunocompromised Mouse Offspring. J Am Assoc Lab Anim Sci. 2020;59(6):712-718.
      4.  Besch-Williford C, Franklin CL. Aerobic Gram-Positive Organisms. In: Fox JG, Barthold SW, Davisson MT, Newcomer CE, Quimby FW, Smith AL, eds. The Mouse in Biomedical Research. Academic Press; 2007:389-406.
      5. Burr HN, Lipman NS, White JR, Zheng J, Wolf FR. Strategies to prevent, treat, and provoke Corynebacterium-associated hyperkeratosis in athymic nude mice. J Am Assoc Lab Anim Sci. 2011;50(3):378-388.
      6. Burr HN, Wolf FR, Lipman NS. Corynebacterium bovis: epizootiologic features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an enzootically infected rodent room. J Am Assoc Lab Anim Sci. 2012;51(2):189-198.
      7. Clifford CB, Walton BJ, Reed TH, Coyle MB, White WJ, Amyx HL. Hyperkeratosis in athymic nude mice caused by a coryneform bacterium: microbiology, transmission, clinical signs, and pathology. Lab Anim Sci. 1995;45(2):131-139.
      8. Field G. An update on scaly skin disease. ACLAM Newsletter. 2006; 37:5–8.
      9. Field K, Greenstein G, Smith M, et al. Hyperkeratosis-associated coryneform in athymic nude mice. Lab Anim Sci. 1995;45:469.
      10. Kim TH, Kim DS, Han JH, et al. Detection of Corynebacterium bovis infection in athymic nude mice from a research animal facility in Korea. J Vet Sci. 2014;15(4):583-586.
       
    Print
  • 마우스에서의 다툼(fighting)은 주로 수컷에서 호발하는데 영역다툼과 계층간 우위 선점으로 인한 현상으로 여겨집니다. 야생에서 수컷 마우스는 계층사회로 상위계급이 하위계급에 비해 먹이를 비롯한 자원에 대한 접근성의 우위를 갖게 되며, 서열이 지켜지지 못하였을 경우 상위계급 동물이 하위계급 동물을 공격을 하게 됩니다. 수컷 마우스는 또한 영역을 확보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자신의 영역에 냄새로 표시를 하게 되는데 자신의 영역 내에 들어온 낯선 수컷은 침입자로 간주하어 적대시하게 되므로 다툼이 발생됩니다. 

     

    자연상태에서 이러한 다툼이 발생될 경우, 하위 계급 동물 또는 침입자는 복종하는 자세를 취하거나 도망가는 등의 행동으로 피할 수 있는데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실험동물은 피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심하게 상처를 입거나 불임이 되고 심하게는 죽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4주령 이상의 성성숙이 완료된 수컷 개체들에서 다툼이 확인되면 별도의 케이지에 분리해주는 것이 적절하며, 동물들이 숨을 수 있는 마우스하우스, 튜브 등의 구조물과 nesting 할 수 있는 물품들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그림출처: 가톨릭대학교 의생명산업연구원 실험동물연구센터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마우스끼리 싸워요
    Print
  • 개체들끼리 털을 뽑는 털뽑기(barbering) 증상으로, 감염성 질병은 아닙니다.

    피부에 상처가 없거나 별다른 이상이 관찰되지 않는 상태라면, 이런 현상은 마우스가 스스로 또는 함께 자라는 다른 개체의 털이나 수염을 과도하게 그루밍하는 것입니다. 4마리 중에 탈모가 없는 1마리가 털을 뽑는 원인개체로 보이는데요. 털이 뽑힌 개체들은 2~3주가 지나면 다시 털이 자라지만, 이로 인해 예민한 반응을 보이거나 스트레스 증상이 확인 될 경우 원인개체를 분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주로 암컷 개체들 사이에서 서열 확인 시에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수컷들에서도 이런 증상이 관찰될 수 있으며, 케이지 내에 마우스 하우스, play tunnel 등의 은신처와 nesting filter 등의 enrichment를 넣어주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 그림 출처: 가톨릭대학교 의생명산업연구원 실험동물연구센터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암컷 마우스끼리 있는 케이지인데 자꾸 얼굴 옆 부분에 털이 빠져요. 혹시 어디에 감염된 것일까요?
    • 수컷 마우스들 주둥이 부위에 털이 듬성듬성 빠진게 보여요. 어디가 아픈 걸까요?
    Print
  • 마우스 청정화를 해야 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병원성 미생물은 주로 동물에 감염되어 시설 내부로 침입하므로 감염이 의심되는 동물은 기관의 정책에 따라 반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각 기관별 동물 반입 기준 확인 필요)

    - 청정화로 감염이 제거된 동물을 실험에 사용하여, 동물실험의 신뢰성과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특히 형질전환마우스의 경우, 반입 후 브리딩을 주로 하므로 장기간 사육되며 감염 전파의 위험이 높습니다.  

    - 동물실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중에서 병원성 미생물은 동물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잘못된 실험결과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동물의 복지 및 작업자와 연구자의 건강에도 심각한 위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감염된 형질전환 마우스를 반입 하려는데 청정화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청정화 해야 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 1. 농림축산검역본부 & 식품의약품안전처. 공동 동물실험 및/또는 실험동물 관련 위원회(IACUC) 표준운영 가이드라인. (2020.12.)
       
    Print
  • 합사 및 단독사육은 동물이 사육되는 기관의 정책(규정/지침/가이드라인 포함)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단독 사육이 필요한 경우 동물실험계획서에 기재되어 IACUC의 승인을 득하거나 기관수의사와 협의해야 합니다.

     

    The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에서는 사회적 동물종은 가능한 사회적으로 사육(합사)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적 동물종이라도 합사가 불가하고 단독사육 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적절한 정당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단독사육의 정당성 확보 절차]

     

    1. IACUC의 승인을 득해야 하는 경우

     - 과학적 연구에 필요한 경우: 가능한 단독사육기간을 최단기간으로 설정하여 단독사육의 정당성을 확보함.

     

    2. 기관수의사와 협의해야 하는 경우

     - 동물 건강 이상

     - 사회성 결여 행동 (싸움 등)

     - 수술 후 회복 등

     

    [단독사육시 주의할 점]

     

    1. 과학적으로 연구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환경/식이/운동 enrichment 및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제공함.

    2. 기관수의사의 조언을 받아 단독사육 동물에 점차적으로 합사 동물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함.
     

    [특이사항]

    - 수컷 마우스: 종종 공격적이며 사회적으로 간주되지 않음. 이유기 혹은 그 전부터 같이 사육된 경우에만 합사 가능함.  한 케이지에서 장기간의 실험절차 혹은 번식을 위해 분리된 경우, 다른 수컷 마우스가 있는 원래 케이지로 되돌리기 어려움.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같은 케이지 동물이 자꾸 싸워서 단독 사육을 하려고 하는데 기관 및 IACUC의 승인을 받을 수 있을까요?
    • 동물을 수술했는데 같은 케이지에 다른 동물과 함께 사육하면 안될 것 같아요. 단독 사육해도 동물에 문제가 없을까요?
    Print
  • 원칙적으로 동물종별로 사육실을 분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같은 사육실에 수용해야하는 경우, 특수 장치(개별환기 케이지 등) 사용 및 작업 지침을 수립하여 동물종간 영향을 최대한 차단해야 합니다. 또한 같은 실험실을 사용해야하는 경우에는 동물종별 사용 시간 분리, 사용 후 소독 등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동물종 사육실 분리 사유]

     

    1. 질병의 예방

    - 같은 사육실에서 개별환기케이지를 통해 질병전파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지만, 공기 재순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완벽한 차단이 불가할 수 있음.

     

    2. 스트레스/불안에 따른 영향 방지

    - 랫드는 마우스의 포식자로 같은 방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스트레스 및 불안을 유발할 우려 있음.

    - IACUC의 충분한 검토가 필요함: 시각 또는 후각을 통해 랫드의 존재를 감지하는 마우스 능력, 수행중인 연구에 대한 잠재적 영향 (불안, 두려움, 면역학적 및 행동학적 결과 등)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사육공간이 부족해서 부득이하게 마우스와 랫드를 같은 방에 사육하려고 합니다. 동물간에 영향이 있을까요?
    Print
  • 면역부전동물은 일반동물보다 바이러스/미생물(병원성, 기회감염성, 상주성)에 취약하며, 그 중 중증면역부전동물인 NSG의 경우 더 엄격한 조건의 사육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중증면역부전마우스 관리의 기본 원칙]

     

    1. Microisolator or pressurized individually ventilated (PIV, 양압) cage 사용 권장

    2. 제한된 소수의 인원으로 사육관리 수행

    3. 마우스에게 접촉되는 모든 물품은 autoclave 혹은 vaporized hydrogen peroxide (VHP)로 멸균 후 제공: cage, bedding, water, feed 등

    4. 케이지 교환이나 실험은 laminar flow hood 나 BSC에서 수행하되 human pathogen을 취급하는 경우 ABSL2 housing을 권장

    5. 사육실은 동일 동물시설의 동선에서 최우선으로 지정(일반 마우스 관리와 철저히 분리)

     

    [사육관리]

     

    -멸균사료(autoclave and/or 방사선멸균) 

    -음수 : autoclave 후 급이하며 산성화된 음수 제공도 고려(Acidified to pH 2.5 - 3.0 with HCl,  Pseudomonas spp. 예방 목적), 예방적 차원의 항생제 음수투여는 권장하지 않음 

     

    [케이지 관리]

     

    -케이지 오픈은 반드시 laminar flow hood, BSC를 사용하며 사용 전 소독제로 표면 소독 시행(소독제 contact time 준수)

    -중증면역부전동물의 케이지는 일반 마우스보다 더 자주 교체

    -마우스 핸들링용 포셉은 케이지 교체마다 소독 후 사용

    -케이지 교체 마다 표면 소독(권장)

     

    [NSG에서 호발하는 미생물/바이러스]

     

    Corynebacterium bovis 

    - Citrobacter

    - Enterobacter

    - Enterococcus spp.

    - Klebsiella spp.

    - Proteus

    - Pneumocystis murina

    - Pseudomonas

    - S.aureus

    -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spp.

    - 최근 MKPV(Mouse Kidney Parvovirus) 등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면역결핍 마우스는 어떻게 기르나요?
    Print
  • 출산이 임박한 마우스는 사육 케이 내 환경 개선 (예, 과밀사육 방지, Enrichments 제공, 케이지 관리 등)으로 출산 직후에 산자를 잡아 먹는 식살현상 (Cannibalism)을 예방할 수 있음. 

     

    1. 임신한 암컷은 하나의 케이지에 단독 사육하여 과밀 사육되지 않도록 관리.

       - 번식을 위하여 수컷과 암컷을 1:1 또는 1:2 비율로 합사하더라도 합사 후 교배가 확인(질전, vaginal plug)된 암컷은 반드시 개별 케이지에 분리사육할 것을 권장.

       - 임신 후 수컷을 분리하지 않아서 새끼를 포유 중인 암컷과 수컷이 함께 있을 경우, 분만후발정이 유도되기 때문에 동물복지 차원에서 수컷은 암컷(임신이 확인되거나 어린 새끼를 포유하고 있는 암컷)과 분리하는 것을 권장함. 

       - 하나의 케이지 내 새끼를 포유 중인 모체가 2마리 이상 사육 중일 경우 공동으로 산자를 보살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산자가 섞일수도 있음. 출산일의 차이로 인하여 산자 나이에 차이가 있을 경우 어린 새끼의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권장하지 않음. 
     

    2. 출산일이 다가오면 케이지 내 환경풍부화 도구(enrichments) 제공 (예, 마우스 하우스, 터널, 네스팅 등)

     

    3. 출산 직후 모체는 외부의 자극(예, 냄새)에 민감하기 때문에 출산 직후 케이지를 자주 오픈하지 말고 최대 7일 간은 새 깔짚으로 교체하지 않는 것이 좋음. 

     

    ※ 마우스 번식 요령 

     - 마우스의 성 성숙은 수컷이 대략 60일 (8주령), 암컷은 50일 (7주령) 전후로 완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번식은 최소 7주령 이후의 동물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

     - 마우스는 4~5일 주기로 배란이 일어나며, 성호르몬 (에스트로겐) 분비가 배란일 전날 저녁부터 다음날 오전까지가 최고치에 도달하므로, 늦은 오후 (저녁 6시쯤)  수컷과 합사하면 번식 성공률이 높아짐. 

    - 마우스 임신기간: 19 ~ 21일   

     

    [마우스 Enrichment 종류]

     

     

    *그림출처: https://www.bio-serv.com/rodent_enrichment.html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어미 마우스가 새끼를 자꾸 잡아 먹어요
    • 마우스 번식 케이지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 1. Fish R, Brown JM, Danneman PJ, Karas A, eds. Anesthesia and Analgesia in Laboratory Animals. 2nd ed. San Diego: Academic Press; 2008.
    • 2. 한국실험동물학회인증위원회. 실험동물길라잡이. OKVET; 2015.
    Pri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