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는 보통 유전적으로 인슐린을 만들지 못하는 제 1형 당뇨와 고당분, 고지방과 불규칙한 식단으로 인해 생기는 제 2형 당뇨가 있습니다. 많은 연구팀들이 고지방 혹은 고당분식을 먹인 초파리에서 인간 당뇨병 환자들과 마찬가지로 인슐린 저항성, 혈당 상승, 지방 축적과 체중 증가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보고했습니다. 고지방식을 먹은 암컷은 고지방식을 먹지 않은 암컷보다 적은 수의 알을 낳았고 잠을 잘 때도 더 자주 깼습니다. 한 가지 인간과 다른 점이 있다면 당분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초파리의 수명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당분이 많은 음식을 섭취한 초파리는 당뇨병 환자와 비슷한 표현형을 나타냈음에도 정상 수명까지 살았습니다. 이와 유사하게 제 1형 당뇨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인슐린 생성 세포를 제거한 초파리들은 인슐린을 제대로 만들어내지 못했고, 그로 인해 혈당 상승, 지방 축적 등의 표현형을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이 초파리들은 정상 초파리보다 열흘 이상 더 오래 살았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아마도 인간(혈관에 의해 유지되는 닫힌 순환계)과 초파리(혈관이 없는 열린 순환계)가 다른 순환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당뇨병은 동맥과 모세혈관의 손상을 일으키고 이는 심근경색, 심부전, 뇌졸중, 족부 괴사, 망막 병증과 신장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열린 순환계를 가지고 있는 초파리의 혈림프액(Hemolymph)은 방향에 관계없이 온몸으로 퍼져나갈 수 있어서 혈관이 막힘으로써 발생하는 질환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그림 1. 일반식 초파리(좌)와 고지방식을 섭취한 초파리(우)
* 그림출처: Shirazi F et al. PLoS One. 2014;9(9):e108635.

그림 2. 제 1, 2형 당뇨 모델 초파리의 혈당
* 그림출처: Broughton SJ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2005;102(8):3105-3110.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하는 제 1형 당뇨 모델(빨간 박스)과 고당분식을 먹인 제 2형 당뇨 모델(파란 박스) 초파리 모두 혈당의 증가를 보였습니다.

그림 3. 인슐린 생성 세포를 제거한 초파리의 수명 (빨간색, 다른색: 대조군)
* 그림출처: Broughton SJ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2005;102(8):3105-3110.
인슐린 생성 세포를 제거함으로써 인슐린을 만들지 못하는 제 1형 당뇨 모델 초파리는 정상 초파리에 비해 더 오래 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