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브라피쉬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개요]
제브라피쉬도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발생 중과 성체 모두 각각 단계별, 조직 특이적인 마이크로바이옴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질병의 조건에서 장내불균형을 보입니다. 이를 기초로 하여, 제브라피쉬와 장내미생물의 상호작용을 통한 각종 생리조절과 질병발생 기전을 이해하고 유용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개선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1. 발생 및 조성: 수정 후 3일 입이 열리고 장관(Gastrointestinal Tract) 발생이 진행되면서 초기 마이크로바이옴의 정착이 시작됩니다. 발달단계별(라바, 청소년기;Juvenile, 성체) 특이적인 마이크로바이옴이 형성되며 이러한 형성과정에서 특히 Proteobacteria 문이 구성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사람 마이크로바이옴과 비교: 사람과 제브라피쉬의 마이크로바이옴은 대부분의 마이크로바이옴 문(門, 6종류의 문)을 공유하지만 우점하는 종류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사람은 Firmicutes, Bacteroidetes, Actinobacteria가 대표적인 문인 반면 제브라피쉬는 Proteobacteria, Firmicutes, Fusobacterium이 대표적입니다.) 다만, 우점 마이크로바이옴의 종류가 다르더라도 미생물에 대한 기주(Host)의 반응은 사람과 제브라피쉬 간에 잘 보존되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3. 기능연구: 라바단계에서의 무균 구축조건과 미생물 또는 대사체 처리 조건이 잘 확립되어 있어 특정세균의 처리 및 정착을 통한 기능연구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제브라피쉬 모델의 장점인 돌연변이체 및 형질전환체 확보의 용이성, 실시간 고해상도 형광 이미징 등의 특징과 결합하여 기주와 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기능연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제브라피쉬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기법]
1. 장마이크로바이옴 분석 방법
- 16S rRNA sequencing: 제브라피쉬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위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며, 개체에서 DNA 추출 후 박테리아 특이적 16S rDNA의 일부를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확인함으로써 장마이크로바이옴의 다양성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1) 제브라피쉬 라바 장의 분리 (6일 라바 기준): tricane으로 마취한 라바를 멸균된 침으로 항문근처를 고정하고 해부용 칼을 이용하여 아가미 부분을 절개 및 고정 후 전체 장을 위쪽에서부터 추출. (3~40마리 Pooling)
2) Lysis buffer에 넣고 bead beating으로 파쇄 후 리조자임 분해 뒤 Qiagen Dneasy Kit를 이용하여 DNA 추출
3) 추출된 DNA를 이용하여 V3-V4 부위를 PCR 증폭 후 일루미나 NGS 통해 염기서열 확보
4) 확보된 박테리아 염기서열을 QIIME 파이프라인 기반 생물분석학적 분석을 통해 각 조건의 샘플 내 및 샘플 간의 다양성 (각각 ɑ- diversity, 𝛽-diversity) 분석 및 후보미생물 도출

그림 1. 제브라피쉬 라바의 장 적출 예시

그림 2. 16S rRNA sequencing 분석 예시
* 그림출처: Lee JG et al. Microbiome. 2022;10(1):3.
2. 무균 제브라피쉬 라바 구축: 무균동물(Germ-free Animal)은 체표면 및 체내에 다른 생명체에 존재하지 않는 개체를 의미하며 마이크로바이옴과 기주의 상호작용 연구를 위한 주요한 자원으로 활용됩니다. 제브라피쉬의 경우, 외부 음식섭취가 필요없는 수정 후 7일 전후 라바 시기에 상대적으로 손쉽게 무균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 일부 연구에서 무균화된 성체 제브라피쉬를 사용한 보고가 있습니다.
1) 수정란에 암포테리신, 암시실린, 카나마이신 항생제 조합의 배양액에서 28℃에서 약 5-6시간 배양
2) 0.1% 포비돈 아이오딘에 2분간 노출하여 1차 무균화 유도 후 세척
3) 0.003% 차아염소산나트륨에 20분간 담궈 2차 무균화 유도 후 세척 및 28℃에서 보관
4) 무균화 조건 검증을 위해 매일 호기조건 및 혐기조건에서 사육수 일부를 영양배지(예: TSA 배지)에 떨어뜨려 5일간 배양 후 미생물 생장 확인

그림 3. 제브라피쉬 라바 무균화 모식도

그림 4. 무균화 조건 검증을 위한 미생물 생장 확인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