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재생 정지 다음

닫기

지식 FAQ

  • 동물별
  • 분야별
  • 연구자들의 잦은 출입이나 특히 불규칙적인 소음, 진동 및 밝은 불빛은 모체의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므로 번식을 하는 사육실은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조성하여 주고 연구자들의 출입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살의 원인]

     

    식살은 출산한 암컷이 스트레스로 인하여 산자를 잡아먹는 것으로 대부분 새끼의 털이 자라기 전인 출산 후 일주일 이내에 발생하지만 드물게 이유시기가 다 되어 발생하는 일도 있습니다. 식살의 원인은 모체가 예민하거나 초산인 경우,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혹은 너무 많거나 약한 산자 등 동물의 건강 상태가 문제일 수도 있고, 사육환경이 번식에 적합하지 못하여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식살 방지 방법]

     

    1) 출산 2~3일 전, 어미가 둥지를 만들 수 있도록 부드러운 재질의 enrichment를 제공합니다. 

    2) 번식실에 출입하는 연구자/사육사는 향수나 향이 강한 핸드크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출산 전 2일부터 출산 후 3~4일까지는 최대한 케이지 교체도 하지 않도록 하여 출산을 앞둔 모체의 불안감을 낮춰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3) 초산인 모체가 식살을 한 경우라면, 2산이상의 다른 모체와 합사하여 양육 교육을 시키거나 회복식 등의 영양을 공급하여 주면 포유를 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예민한 모체가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충분한 enrichment를 넣어주고 쿠킹 호일 등으로 케이지를 감싸주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출산한 어미가 자꾸 새끼들을 먹거나 돌보지를 않아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Print
  • [마우스 번식 주기]

     

    마우스 암컷의 발정주기는 아래와 같이 약 4~5일입니다. 

     - proestrus(발정전기): 난자 성숙

     - estrus(발정기): 교미허용, 배란 ⇒ 보통 3일째 ⇒ 암컷의 발정주기를 고려하여 7~10일 합사 후 분리

     - metestrus(발정후기): 난자 난관으로 이동, 수정 후 자궁으로 이동

     - diestrus(발정휴지기): 난포 발달, 수정되지 않은 난자들 제거됨

     

    그러나 암컷끼리 오래 합사하여 사육하는 경우에는 무발정기가 지속될 수 있으므로 당장 실험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번식 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교배는 계속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번식군의 은퇴 시기 (생식수명)]


    일반적으로 실험용 마우스는 약 7~8개월 동안 번식할 수 있으며 이 시기 동안 3~4회의 출산을 하게 됩니다.  수컷은 좀더 나이가 들어도 번식이 가능하나 8개월이 넘은 암컷 마우스는 번식군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그 외 60일 이상 합사하여도 임신이 되지 않거나 마지막 출산 이후 60일까지 임신이 안되는 경우, 이유 후 산자수가 너무 적은 경우에도 모체를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균 산자수: 6~8수. 모체가 3~4개월 령일 때 최대이며 이후 감소) 

     

    또한 C3H/HeJ 생쥐는 난소 낭종 및 종양 발생 빈도가 높기 때문에 번식이 조기에 중단될 수 있으며, NOD/ShiLtJ 암컷은 생후 12주가 되면 당뇨병이 발현되어 번식 시기가 감소할 수 있지만, Freund’s Adjuvant 를 발바닥에 주사하면 생식 수명이 5개월까지 연장될 수도 있습니다.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출산한 어미가 자꾸 새끼들을 먹거나 돌보지를 않아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Print
  • [임신 분리]

     

    암컷의 임신이 확인된 후에는 모체 당 1수로 케이지를 나누어 분리룰 해주어야 합니다. 수컷을 계속 합사할 경우, 공격적인 수컷은 모체와 산자를 공격할 수도 있으며 암컷이 출산한 뒤 후분만 발정으로 다시 임신을 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Mating 케이지에서는 수컷은 그대로 두고 임신한 암컷을 분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특히 SJL/J 등 몇몇 strain은 교미했던 암컷이나 새끼들에게도 공격성을 보이기 때문에 임신이 확인되면 출산 전 빠르게 분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Fighting 방지 대책]

     

    번식에 사용했던 수컷은 가급적 한마리씩 나누어 사육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수컷은 성성숙 이후 서열을 세우기 위한 영역 다툼을 시작합니다. 따라서 교배시 한 케이지당 수컷은 한 마리씩만 넣어야 하며, 교배가 끝난 이후 따로 분리하여 키웠던 수컷들을 다시 합사하면 fighting이 발생하게 됩니다. (한 배에서 태어나서 함께 자란 새끼들의 경우도 장기간 분리 이후 다시 합사하면 fighting 발생 가능). 또한 케이지 내 사육밀도도 마우스의 공격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밀집사육을 피하고 충분한 enrichment를 공급하는 것도 fighting을 줄일 수 있습니다.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출산한 어미가 자꾸 새끼들을 먹거나 돌보지를 않아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Print
  • [마우스 번식 시기]

    마우스는 수컷의 경우 6~8주령, 암컷은 5~7주령에 성성숙이 완료됩니다. 따라서 번식을 시작하는 가장 좋은 7-8주령이며 미성숙한 동물들을 번식시킬 경우, 식살이나 난산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암컷의 경우 5~6회의 새끼를 출산하였거나 8개월령 이상이 되면 더이상 번식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번식 방법]

    번식을 위해서는 늦은 오후 미리 준비해둔 수컷 케이지에 암컷을 합사시키되 fighting이 생길 수 있으므로 합사 후 잠시 관찰했다가 공격하는 경우에는 분리해야 합니다. 번식에 사용하는 수컷은 자신의 영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최소 하루 전 미리 분리하여 두고, 번식 경험이 있는 수컷과 젊은 암컷을 합사하면 임신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암컷의 케이지에 수컷을 합사하는 경우, 수컷은 영역확보를 위해 암컷을 공격할 수 있으므로 암컷의 케이지들에 수컷을 돌려가며 합사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또한 수컷보다 덩치가 큰 암컷을 합사하면 수컷이 공격당할 수도 있으므로 어린 수컷과 나이가 많은 암컷을 합사하는 것도 권장하지 않습니다. 교배 후에는 암수를 분리하여 암컷의 임신이 확인되면 출산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을 만들어주여야 합니다.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번식을 위해 케이지에 암컷과 수컷을 넣을 때 특별히 주의할 점이 있을까요?
    • 8주된 수컷과 그것보다 나이가 많은 20주령의 암컷이 mating이 가능한가요?
    Print
  • [Genotyping 시기]

    마우스의 genotyping 시기는 생후 10~21일 사이가 가장 이상적입니다. 이 시기에는 아직 연골이 석회화되지 않아 꼬리 조직이 부드러우며, 생후 10~15일 사이는 DNA의 추출량도 가장 높습니다. 또한 이유 전 원하는 유전자형의 마우스를 선별하여 케이지 수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Genotyping 방법]

    꼬리 조직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국소마취 이후 멸균된 메스나 가위 등을 사용하여 꼬리의 말단 2mm(최대 5mm)를 깨끗이 절단하며, 동물을 케이지로 돌려보내기 전 확실하게 지혈된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21일령이 넘은 마우스는 전신 또는 국소마취 하에 조직 채취가 가능합니다. 이 외에도 ear-punch시 나오는 귀 조직이나 채혈을 통한 혈액을 이용하여 genotyping을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특히 귀 조직을 이용하는 방법은 동물의 식별표시 및 조직 채취를 동시에  할 수 있으며 동물의 통증이나 스트레스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 Genotyping을 위해 가능한 Biological sample: Tail Biopsy, Ear Punch, Fecal Pellet, Hair Sample, Blood Sample 등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마우스 Genotyping을 할 때 왜 꼬리를 잘라서 확인하나요?
    • 마우스 Genotyping 하는데 꼬리를 자를 때 마취 없이 가위로 자르면 되나요?
    Print
  • 알팍산 (Alfaxan)은 소형 실험동물 (마우스, 랫드)용 주사 마취제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알팍산은 향정신성의약품에 해당되지 않고 수의사 처방전으로 구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구입 및 관리의 편리성은 있지만, 마우스와 랫드에서 마취제로 사용할 경우 심마취가 유도되지 않고 안전역이 좁아 마취 중 폐사가 발생하는 빈도가 높기 때문에 소형 설치류의 마취제로 사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졸레틸과 같은 향정신성 마취제 사용이 어렵고 흡입마취제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아래의 일부 제한된 실험에 한하여 럼푼(Xylazine)과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은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알팍산 사용이 가능한 실험 예 (마우스): 비생존 실험, 부검 시, 영상촬영 시, 기타 간단한 진정이 필요한 경우 등, 단, 수술 등의 목적으로는 사용 불가 

    * 사용용량 및 마취 지속시간 (마우스)

       - 용량: 럼푼과 병용 투여, 알팍산 40 ~ 100mg/kg + 럼푼 5 ~ 10mg/kg, IP

       - 지속시간: 최소 20분 ~ 최대 1시간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향정신성의약품이 아닌 마취제 중 마우스 주사 마취제로 사용이 가능한 마취제 종류를 알려주세요
    • 마우스 마취에서 알팍산 사용방법이 궁금합니다
    • 1. Erickson RL, Blevins CE, Souza Dyer C, Marx JO. Alfaxalone-Xylazine Anesthesia in Laboratory Mice (Mus musculus). J Am Assoc Lab Anim Sci. 2019;58(1):30-39.
    • 2. Navarro KL, Huss M, Smith JC, Sharp P, Marx JO, Pacharinsak C. Mouse Anesthesia: The Art and Science. ILAR J. 2021;62(1-2):238-273.
    • 3. Jackson-Lewis V, Przedborski S. Protocol for the MPTP mouse model of Parkinson's disease. Nat Protoc. 2007;2(1):141-151.
       
    Print
  • [국내 실험용 토끼 (NZW, New Zealand White) 공급업체 정보]

     

     

    회사명 연락처
    라온바이오

    국내 동물 주문 불가, 수입 동물만 주문 가능 (SPF 토끼)

    전화: 031-283-4197 / 메일: raon@raonbio.co.kr, http://www.raonbio.co.kr

    새론바이오

    국내 동물 (Convention 토끼), 수입 동물 (SPF 토끼) 주문 가능

    전화: 031-425-6300 / 메일: ask@saeronbio.com, http://www.saeronbio.com

    샘타코

    국내 동물만 주문 가능 (SPF 토끼), 수입 동물 주문 불가 

    전화: 031-372-3636 / 메일: order@samtako.com, http://www.samtako.com

    코아텍 

    국내 동물 (SPF 토끼, 22년 3분기 이후 가능), 수입 동물 (SPF 토끼) 주문 가능  

    전화: 031-611-8224 / 메일: order@koatech.co.kr, http://www.koatech.co.kr

    두열바이오텍 수입 동물 (SPF) 주문 가능
    전화: 02-575-6598 / 메일: 210@dybiotech.co.kr

    [2022.02. 기준] 

     

    ※ 이외 국내 실험동물공급자 현황 정보는 식약처 수입식품정보마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https://impfood.mfds.go.kr/)

       - 수입식품정보마루 >알림자료 > 수입식품뉴스 > 정책소식 > “동물실험시설 및 실험동물공급자현황” 자료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SPF 토끼는 어디서 구할 수 있나요?
    Print
  • 구분 연락처 (홈페이지)
    국가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실험동물자원센터
    [인프라서비스-미생물모니터링]
    043-240-6562
    https://mouse.kribb.re.kr/www/index.html?pg_idx=14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전임상센터 
    [실험동물 헬스모니터링]
    053-790-5799
    https://www.kmedihub.re.kr/index.do?menu_id=00400261
    서울대병원 전임상실험부 02-2072-0814
    http://dear.bri.snuh.org/pub/_/singlecont/view.do
    민간업체 우정바이오 실험동물센터
    [실험동물 미생물 분석 서비스]
    031-888-9428
    http://bio.woojungbsc.co.kr/animal/breeding_management.php
    옵티팜 평가센터
    [동물 질병진단 사업부]
    043-249-7524
    http://ace.optipharm.co.kr/

    [2022.02.기준]

     

    ※ 기관별 샘플 의뢰 방법, 검사비용 및 소요기간이 상이하므로 기관의 담당자(수의사 등)와 상의 후 검사 진행할 것을 권장함. 

     * 검사항목 및 검사주기 선정을 위한 참고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2021.3.) “실험동물 미생물 품질관리 안내서 – 설치류와 토끼 –”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실험동물의 미생물 모니터링 검사 의뢰가 가능한 업체를 알려주세요
    • 마우스 미생물 모니터링 검사 기준과 비용이 궁금합니다
    • 1. 식품의약품안전처. “실험동물 미생물 품질관리 안내서 – 설치류와 토끼 –” (2021.3.)
    Print
  • 아산화질소 (N2O, Nitrogus oxide)는 진통효과가 뛰어나고 장시간 흡입마취에 따른 O2 toxicity를 감소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일부 실험 (예, 마우스 뇌허혈증 모델 유도 등)에서는 Isoflurane과 같은 흡입마취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면 마취유지 및 통증완화에 도움이 되지만 아산화질소 단독 사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예) 마우스 뇌 허혈증 모델 유도 시: 산소 30% + N2O 70% + 1.5% Isoflurane 비율로 적용 가능

     

    흡입마취는 주사마취에 비해 적용이 쉽고 마취유도 및 회복이 빨라 안전하며, 사용되는 마취제의 취급 및 관리가 편리하기(향정신성 의약품 아님) 때문에 마우스와 같은 소형 설치류에서 물질 투여를 위한 보정 전, 간단한 수술 등의 목적으로 흡입마취제와 산소만으로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흡입마취 시에는 마취 심도 조절을 위하여 기화기와 산소공급시스템이 갖추어진 전용흡입마취기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흡입마취제로는 Isoflurane, Sevoflurane 등이 있으며 일부 마취제는 수의사 처방전이 있어야만 구매가 가능합니다.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마우스 흡입 마취는 어떻게 하나요?
    • 마우스 호흡 마취는 어떻게 하나요?
    • 마우스 흡입 마취에 사용할 수 있는 마취제 종류가 궁금합니다
    • 1. (재)생명과학연구윤리서재. 실험동물길라잡이 마우스. 2021.
    • 2. 농림축산검역본부/식품의약품안전처. 위원회 (IACUC) 표준운영가이드라인 (2020.12.)
    • 3.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검역본부. 초중고교 동물실습 가이드라인 (2019)
       
    Print
  • Avertin은 마우스에서 염증 (복막염 등)을 유발하며, 마취 심도 조절이 어렵고, 안전역이 좁기 때문에 생존 실험 (수술 등)에서의 마취제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다만, 일부 비생존 실험 (예, 부검 전 채혈 및 조직채취 목적)에서 아래와 같은 제조방법과 용량으로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Avertin (2,2,2 tribromoethanol) 제조방법: 권장 용량 250mg/kg

       - 보존용액 (stock solution):  25g avertin을 15.5ml tert-amyl alcohl (2-methyl-2-butanol) 에 녹임 -> 호일 또는 갈색병에 담아 상온 보관 

       - 사용용액 (working solution): 0.5ml 보존용액 + 39.5 ml 생리식염수 (0.9% NaCl) -> 냉장 보관 (4℃), 최대 2주간 보관 가능

     

    * 마취방법

       - 제조한 사용용액을 체중 10g 당 0.2ml 용량으로 복강내 주사 (IP)하며 마취 지속시간은 대략 30분 정도이며 필요시 0.1 ~ 0.2ml 추가 투여 가능

     

    * 주의사항

       - 사용용액은 반드시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냉장 보관해야 하며 투여 전 멸균 (필터링) 권장 

       - 반복 투여 시 염증 (복막염) 부작용이 관찰될 수 있음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마우스 마취용 Avertin 희석 방법이 궁금합니다
    • 마우스 마취를 위한 Avertin 사용 방법을 알려주세요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