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재생 정지 다음

닫기

지식 FAQ

  • 동물별
  • 분야별
  • 동물실험에 사용되는 모든 향정신성의약품은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용 전 연구(책임자)가 직접 취급 허가를 받아야만 합니다.
     

    [신청절차: 식약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이용 (http://nedrug.mfds.go.kr)]

     -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 전자민원신청 > 마약류취급자 (학술연구자) 등 허가 “마약류취급자"로 검색 > 신청 정보 작성  

     - 민원사무분류 1차분류명 “학술연구자” 선택, 처리기간 약 25일 소요, 수수료 31,000원 (2022년 1월 기준)

     

    실험에 주로 사용되는 향정신성의약품 종류로는 마취제(Ketamine, Zoletil, Barbiturate 등)와 진통제(Butorphanol, Buprenorphine) 등이 있으며,  이외 마약류 리스트는 통합정보시스템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통합정보시스템 > 통합자료실 >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 별표 1 ~ 7 참고 

     

    [향정신성 의약품의 정의]
     

    모든 향정신성의약품은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아래와 같이 정의를 내리고 있습니다.

     

     가) 오용하거나 남용할 우려가 심하고 의료용으로 쓰이지 아니하며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오용하거나 남용할 경우 심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는 약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물질

     나) 오용하거나 남용할 우려가 심하고 매우 제한된 의료용으로만 쓰이는 것으로서 이를 오용하거나 남용할 경우 심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는 약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물질

     다) 가목과 나목에 규정된 것보다 오용하거나 남용할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고 의료용으로 쓰이는 것으로서 이를 오용하거나 남용할 경우 그리 심하지 아니한 신체적 의존성을 일으키거나 심한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는 약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물질

     라) 다목에 규정된 것보다 오용하거나 남용할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고 의료용으로 쓰이는 것으로서 이를 오용하거나 남용할 경우 다목에 규정된 것보다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킬 우려가 적은 약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물질

     마) 가목부터 라목까지에 열거된 것을 함유하는 혼합물질 또는 혼합제제. 다만, 다른 약물 또는 물질과 혼합되어 가목부터 라목까지에 열거된 것으로 다시 제조하거나 제제할 수 없고, 그것에 의하여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지 아니하는 것으로서 총리령으로 정하는 것은 제외한다.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동물 마취제 중 향정신성의약품에 해당되는 약물은 어떤 종류가 있나요?
    • 향정신성의약품 허가 및 사용 절차가 궁금합니다
    Print
  • 수술포 등을 이용하여 토끼를 감싼 후 한쪽 겨드랑이 사이 또는 가슴으로 안듯이 토끼를 보정한 후 바늘을 제거한 주사기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먹이듯이 물질(약물)을 투여합니다. 다만, 기호성이 떨어지는 물질을 투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강제 급이 방법도 고려할 수 있는데, 이때는 고무재질의 feeding tube, 개구기를 준비해야 하며 반드시 2명 (보정자, 투여자)이 함께 수행하기를 권장합니다. Feeding tube와 개구기를 이용한 강제 투여 방법은 개구기 및 feeding tube 사용 과정에서 스트레스가 유발되어 실험동물 및 연구자의 건강에 위험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숙련된 경험이 있는 연구자에 한하여 활용이 가능합니다.

     

    * 토끼 경구 투여 동영상: Syringe Feeding Rabbits

     

    *그림출처: Martinic G. A technique for intragastric gavage of radiolabeled liquid cholesterol in rabbits (Oryctolagus cuniculus) using a pediatric feeding tube. Lab Anim (NY). 2008;37(7):323-328.

     

     

    ※ Feeding tube와 개구기를 이용한 강제 투여법

    보정자와 투여자 2인이 수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고무재질의 feeding tube(직경 4mm 정도)와 개구기(feeding tube가 통과될 수 있는 구명이 있는) 필요함. 

     

    [투여 순서]

       1. 위까지의 거리 확인: 토끼의 코 끝 ~ 마지막 늑골까지의 거리를 확인하여 삽입해야 하는 tube 길이를 체크함. 

       2. 토끼 보정 (보정자): 

         - 실험대가 있을 경우 수술포 등을 이용하여 토끼 몸을 감싸고, 보정자의 가슴으로 누르듯이 또는 한쪽 겨드랑이 사이에 껴서 움직이지 못하게 보정하고 한 손으로는 앞다리를 고정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입과 목덜미를 보정함. 

        - 실험대가 없을 경우 보정자는 의자에 앉아 토끼 허리를 무릎 사이에 끼우고 한 손으로는 앞다리를 고정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입과 목 덜미를 보정함. 

     3. 투여자는 개구기를 토끼 입에 물리고 개구기의 중앙 구멍으로 feeding tube를 천천히 삽입함 (윤활제를 tube 끝에 묻혀서 사용하면 투여가 용이).

         - Tube는 입 천장을 타고 자연스럽게 삼킬 수 있도록 밀어 넣어주고, 강제적으로 삽입할 경우 기관지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주의   

     4. Tube 삽입이 완료되면 빈 주사기를 이용하여 압력이 걸리는지 여부와 위 내용물을 확인한 후 투여 물질이 들어 있는 주사기로 교체하여 천천히 투여함.

         - 권장 투여용량: 10ml/kg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토끼에게 약물은 어떻게 먹이나요?
    • 중동물에게 약물은 어떻게 먹이나요?

    • 1. 이병한. 토끼 마취 및 실험기법.
    Print
  • 채혈 후 검사하고자 하는 용도 또는 항목에 따라 아래와 같은 전용 tube 사용이 권장됩니다.

    ※ 권장되는 채혈 (용기에 담는) 순서: Sodium Citrate > SST > Plain > EDTA

     

     

    *그림출처: http://www.bml.kr/testinfo/collection01.phphttps://kwonhello.tistory.com/300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채혈 후 혈청 분석을 하려고 하는데 어떤 tube에 채혈을 해야 하나요?
    • 혈액 보관용 tube의 종류가 많은데 각각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Print
  • *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은  운동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주로 MPTP를 이용하여 동물모델을 유도할 수 있음. 

     - MPTP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파킨슨병 동물모델 유도를 위하여 사용되는 신경독소로 사람에게 노출 시 신경 손상의 위험이 있는 물질로 주의가 필요함. 

     

    * 파킨슨 동물모델 제작방법 (MPTP 투여 방법)

       1. 동물종: 6~8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 / 물질: MPTP 복강 투여

         - 급성 모델 (acute): 하루 동안 20~30mg/kg MPTP 2시간 간격으로 4회 복강 투여 

         - 아급성 모델 (subacute): 15~30mg/kg MPTP를 최소 5일 ~ 최대 10일간 복강 투여, 3일 ~ 8일 후 임상증상 발현

         - 만성 모델 (chronic): 25mg/kg MPTP를 4일/주 복강 투여하여 5주간 투여

       2. 모델평가: 행동학적 검사 (Open field test, rota-rod 등), 혈액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 (Tyrosine hydroxylase 분석, 조직분석 등), 유전학적 검사 (RNA-seq, Methyl-seq 등)를 통하여 최종 평가할 수 있음.   

     

    * MPTP 취급 시 주의사항 

       1. 사람에게 노출 시 신경 손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기관생물안전위원회(IBC)와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하고, 기관의 안전관리담당자(수의사 등)와 물질투여 후 케이지 관리, 실험 중 라벨표시, 깔짚처리, 사체처리 방법 등에 대하여 협의가 필요함. 
       2. 연구자는 적절한 보호의 (N99 마스크, 글로브, 가운 등)를 착용하여 후드 또는 BSC (Class II type B2) 내에서만 MPTP를 개봉하거나 제조하여야 함. 
       3. 투여 후 케이지 관리 
         - MPTP 투여 후  마우스는 개별환기케이지 등 배기가 되는 음압 케이지에서 사육해야 하며, 반감기를 고려하여 투여 후 최소 72시간 동안에는 케이지를 오픈해서는 안됨. 72시간 이후 일반케이지로 동물만 이동하여 실험을 진행할 수 있음. 
         - 사용한 케이지는 (깔짚 포함) autoclave 하지 않고 이중포장하여 폐기함 (권장). 실험에 사용한 모든 물품은 1% 락스를 이용하여 청소 및 소독해야 함. 
       4. 연구자 노출 사고 시
         - 실험 중 MPTP 노출이 의심될 경우 유멕스정 (selegiline)을 처방받아 사용할 수 있음. 

     

    * MPTP가 파킨슨병을 유도하는 분자기전

     - MPTP는 신경독성을 유발하는 MPP+의 prodrug 형태로서 도파민 신경세포를 파괴함으로써 파킨슨병과 유사한 생리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 

     - MPTP 자체는 유해한 물질이 아니지만, 뇌에 들어갈 경우 MPP+ 형태로 대사가 진행되며, 생성된 MPP+ 가 미토콘드리아 전달계와 결합함으로써 활성산소 수치를 증가시키고 세포의 독성을 일으켜 도파민 신경세포를 파괴하게 됨.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마우스에 MPTP는 어떻게 주사하나요?
    • MPTP가 사람에게 유해한가요?
    Print
  • 실험동물의 채혈량은 순환혈액량을 기준으로 계산이 가능하며, 마우스의 평균 순환혈액량 (체중의 72ml/kg)을 감안하여 단회 또는 반복채혈이 가능한 채혈량은 아래 표를 참고로 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시) 체중 25g 마우스에서 매주 (1주) 간격으로 채혈이 가능한 혈액량은 얼마인가요? 

            25g 마우스의 평균 순환혈액량: 0.075 x 25 = 1.8ml 정도이고, 1주 단위로 채혈 가능한 혈액량은 순환혈액량의 7.5%까지 가능하므로 1.8 x (7.5/100) = 약 135μl까지 채혈이 가능

            다만, 1회 채혈 가능한 최대량은 체중의 1%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 (예: 체중 25g 마우스에서 1회 채혈 가능한 최대량은 대략 0.25ml 내외)

     

    ※ 랫드 평균 순환혈액량은 체중의 약 64ml/kg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마우스에서 채혈할 수 있는 최대량은 얼마인가요?
    • 채혈은 얼마나 자주 할 수 있나요?
    Print
  • 마우스 경구투여 기준 지용성 물질은 최대 10ml/kg, 수용성일 경우 최대 20ml/kg까지 투여가 가능하며, 이외의 투여 경로에 따른 용량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 체중 20g 마우스에서 지용성물질을 경구 투여할 경우 존대를 이용하여 최대 0.2ml까지 투여 가능)

     

     

       * 근육 주사는 투여용량 (볼륨) 기준 (ml/투여부위)이며, 하루 2군데 이상 주사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음. 

       ** 정맥 투여 시 

         - 마우스: 급속 투여 0.1ml/1분 이내, 저속 투여 0.5ml/5분 이내

         - 랫   드: 급속 투여 1ml/1분 이내, 저속 투여 2ml까지 투여 가능

      ※ 면역, 염증 반응 평가를 위한 피내 (ID) 투여는 0.05 ~ 0.1ml까지 투여 가능

     

    [Feeding Needle의 특징]

    일반적으로 feeding needl의 끝부분은 round tip으로 되어 바늘을 투입시 주변조직이 상하지 않도록 방지함.

    바늘이 구부러진 curved 형태 혹은 직선으로 뻗은 straight 형태가 있으며, 각 실험자의 편의에 맞추어 구매를 진행함.

    일반적으로 stainless 재질은 반 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함. 

    반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needl의 경우 테프론 재질 위주로 되어 있음.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마우스 정맥으로 투여 가능한 최대 용량은 얼마인가요?
    • 설치류에서 근육, 경구, 복강 , 피하 투여 방법에 따른 투여용량 (볼륨)이 궁금합니다
    • 1. Fox J. Laboratory Animal Medicine. 3rd ed. Academic Press; 2015.
    • 2. Diehl KH, Hull R, Morton D, et al. A good practice guide to the administration of substances and removal of blood, including routes and volumes. J Appl Toxicol. 2001;21(1):15-23. 
    • 3. 한국실험동물학회 인증위원회. 동물실험길잡이. OKVET; 2017.
    • 4. IQ 3Rs Leadership Group. Recommended dose volumes for common laboratory animal.
    Print
  • 마우스에서 개체 식별방법으로는 간단하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유색법(마커, 타투)과 ear punch법이 있음.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실험동물의 개체 식별 방법을 알려주세요
    • 마우스에서 개체 식별을 위한 Ear punch, Tattoo (문신), toe clip 방법 등은 어떻게 적용 가능한가요?
    • 마우스 넘버링 방법을 알려주세요
    • 1. Anderson L, Otto G, Pritchett-Corning K, Whary M. Techniques of Experimentation. In: Fox J. Laboratory Animal Medicine. 3rd ed. Academic Press; 2015.
       
    Print
  • 출산이 임박한 마우스는 사육 케이 내 환경 개선 (예, 과밀사육 방지, Enrichments 제공, 케이지 관리 등)으로 출산 직후에 산자를 잡아 먹는 식살현상 (Cannibalism)을 예방할 수 있음. 

     

    1. 임신한 암컷은 하나의 케이지에 단독 사육하여 과밀 사육되지 않도록 관리.

       - 번식을 위하여 수컷과 암컷을 1:1 또는 1:2 비율로 합사하더라도 합사 후 교배가 확인(질전, vaginal plug)된 암컷은 반드시 개별 케이지에 분리사육할 것을 권장.

       - 임신 후 수컷을 분리하지 않아서 새끼를 포유 중인 암컷과 수컷이 함께 있을 경우, 분만후발정이 유도되기 때문에 동물복지 차원에서 수컷은 암컷(임신이 확인되거나 어린 새끼를 포유하고 있는 암컷)과 분리하는 것을 권장함. 

       - 하나의 케이지 내 새끼를 포유 중인 모체가 2마리 이상 사육 중일 경우 공동으로 산자를 보살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산자가 섞일수도 있음. 출산일의 차이로 인하여 산자 나이에 차이가 있을 경우 어린 새끼의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권장하지 않음. 
     

    2. 출산일이 다가오면 케이지 내 환경풍부화 도구(enrichments) 제공 (예, 마우스 하우스, 터널, 네스팅 등)

     

    3. 출산 직후 모체는 외부의 자극(예, 냄새)에 민감하기 때문에 출산 직후 케이지를 자주 오픈하지 말고 최대 7일 간은 새 깔짚으로 교체하지 않는 것이 좋음. 

     

    ※ 마우스 번식 요령 

     - 마우스의 성 성숙은 수컷이 대략 60일 (8주령), 암컷은 50일 (7주령) 전후로 완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번식은 최소 7주령 이후의 동물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

     - 마우스는 4~5일 주기로 배란이 일어나며, 성호르몬 (에스트로겐) 분비가 배란일 전날 저녁부터 다음날 오전까지가 최고치에 도달하므로, 늦은 오후 (저녁 6시쯤)  수컷과 합사하면 번식 성공률이 높아짐. 

    - 마우스 임신기간: 19 ~ 21일   

     

    [마우스 Enrichment 종류]

     

     

    *그림출처: https://www.bio-serv.com/rodent_enrichment.html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어미 마우스가 새끼를 자꾸 잡아 먹어요
    • 마우스 번식 케이지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 1. Fish R, Brown JM, Danneman PJ, Karas A, eds. Anesthesia and Analgesia in Laboratory Animals. 2nd ed. San Diego: Academic Press; 2008.
    • 2. 한국실험동물학회인증위원회. 실험동물길라잡이. OKVET; 2015.
    Print
  • [마우스와 랫드의 권장 금식 시간]

     

    실험의 종류에 따라 금식 시간은 최소 6시간 이내-최대 18시간까지 상이함.   
     

     

    [고려사항]

    1. 마우스, 랫드의 습성을 고려한 금식 계획 (금식 시작과 종료 시점) 수립으로 금식 효과를 높일 수 있음. 

       - 야행성: 하루 사료섭취량의 2/3 정도를 야간에 섭취하며, 특히 오전 중에는 사료 섭취량이 낮으므로 금식을 언제 시작하느냐에 따라 금식 효과가 달라짐. 

       - 식분증: 정상 행동습성으로 자신의 분변을 섭취하고, 깔짚의 주요 성분이 나무 (또는 옥수수)이므로 금식 기간 동안에는 절식망 등을 이용하여 케이지 내 분변이나 깔짚을 섭취하지 못하도록 동물을 분리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음. 

       - 금식 기간 동안 일반적으로 음수는 공급해야 함. 

     

    2. 동물복지 차원에서 정상 체중의 20% 이상 감소를 유발하는 금식은 권장되지 않음 (단, 실험목적 상 불가피할 경우 기관 내 동물실험윤리위원회로부터 사전 검토 및 승인 받은 실험에 한하여 허용 가능). 

       - 허용 가능 최대 금식 시간: 마우스(최대 18시간 이내), 랫드(최대 24시간 이내)

     

    3. 마우스, 랫드는 구토를 하지 않기 때문에 마취 전 금식이 필수 사항은 아니지만, 소화기계 관련 수술 전에는 금식을 고려할 수 있음.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부검 또는 혈액검사 전 마우스 금식은 얼마나 시켜야 할까요?
    • 혈당 측정 전 금식은 어느정도 시켜야 할까요?
    • 부검 전 마우스를 금식 시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혈당 측정 전 금식은 어느정도 시켜야 할까요?
    • 1. Jensen TL, Kiersgaard MK, Sørensen DB, Mikkelsen LF. Fasting of mice: a review. Lab Anim. 2013;47(4):225-240. 
    • 2. Nowland MH, Hugunin KM, Rogers KL. Effects of short-term fasting in male Sprague-Dawley rats. Comp Med. 2011;61(2):138-144.
    • 3. The Jackson Laboratory Blog (September 22, 2019)
    • 4. 식약처, 식품 등의 독성시험법 가이드라인 (2020.11)
    Print
  • 토끼 실험의 종류에 따라 단독 사용 여부가 결정됩니다.

     

    럼푼은 마취제 투여 전에 주는 전마취제에 해당합니다. 전마취제의 투여를 통해 주사 또는 흡입마취제의 적용을 쉽게 할 수 있고 동물의  불안감 감소 및 핸들링 수월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럼푼을 토끼에서 단독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심전도 측정, 방사선 촬영, 신체 검사 그리고 정맥 절개술과 같은 최소침습 및 동물에 위해가 높지 않은 간단한 처치에 한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개복, 개흉 및 침습 수술과 같은 고통을 많이 동반하고 수술 및 처치에 긴 시간이 요구되어 전신마취가 필요한 상황의 경우 단독 사용을 할 수 없습니다. 

     

    럼푼은 신경안정제 및 진정제에 속하는 약물로 마취제의 범주에 들어가는 약물이 아니니 토끼에게 행해지는 실험의 종류에 따라 단독 사용 여부 결정해야 합니다. 실험 전  실험동물수의사와 상의 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토끼는 어떻게 마취를 하나요?
    • 1. Gaertner DJ, Batchelder M, Hankenson FC, Hallman TM. Anesthesia and Analgesia for Laboratory in Rabbits. In: Fish R, Brown JM, Danneman PJ, Karas A, eds. Anesthesia and Analgesia in Laboratory Animals. 2nd ed. San Diego: Academic Press; 2008
      2. Anderson L, Otto G, Pritchett-Corning K, Whary M. Preanesthesia, Anesthesia, Analgesia and Euthanasia(Rabbit). In: Fox J. Laboratory Animal Medicine. 3rd ed. Academic Press; 2015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