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재생 정지 다음

닫기

지식 FAQ

  • 동물별
  • 분야별
  • 동물실험에 수반되는 통증은 일반적인 동물관찰 지표로 예측할 수 있으며, 설치류의 경우에는 Grimace Scale이 개발되어 있어 통증 평가나 수술 후 적용되는 진통제의 효능 평가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동물관찰 지표 : 체중 변화, 사료 및 음수 섭취 변화, 외형 변화, 임상증상(심박수, 호흡수, 체온 등), 자극하지 않았을 때 행동 변화(고통징후), 외부자극 시 행동 반응 등 

     

    동물의 통증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상동물의 생태에 대한 지식과 동물관찰 경험이 있는 연구자를 전담으로 지정하여 주기적,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실험동물의 통증은 저절로 조절되지 않으므로 통증 정도에 맞는 적절한 진통제를 사용하여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람의 경우, 3세 미만의 소아 혹은 환자 스스로 통증을 정확히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 FLACC등급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지표들도 동물실험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Pain Ladder(WHO)]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동물실험에서 통증을 수치화 할 수 있나요?
    • 1. Langford DJ, Bailey AL, Chanda ML, et al. Coding of facial expressions of pain in the laboratory mouse. Nat Methods. 2010;7(6):447-449.
    • 2. NC3Rs. Grimace Scales. https://www.nc3rs.org.uk/3rs-resources/grimace-scales
    • 3. Merkel SI, Voepel-Lewis T, Shayevitz JR, Malviya S. The FLACC: a behavioral scale for scoring postoperative pain in young children. Pediatr Nurs. 1997;23(3):293-297.
    • 4. World Health Organization. Cancer pain relief. 1986.
    • 5. IACUC 동물실험계획서 작성 및 심의평가 길라잡이(2020)
    Print
  • 동물실험 시작 시 연구자들은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이하 IACUC)에서 규정한 절차와 원칙에 따라 동물실험절차를 계획하며, 반드시 연구 개시 전에 IACUC에 동물실험계획서를 제출하여 IACUC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이후 단계는 각 기관별 상이할 수 있으나 대부분 아래 절차에 따라 동물실험을 시행하며, 자세한 절차는 해당 연구시설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동물실험을 준비하기 바랍니다.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동물주문부터 실험 시작까지 전체적인 절차를 한눈에 알고 싶어요
    Print
  • 동물조직의 파라핀 블록 제작, 슬라이드 제작, H&E염색, 면역염색(IHC Stain), 면역형광염색(IF Stain), 특수염색 (Oil Red O, Masson's Trichrome, PAS, Sirius Red, Safranin O, Toluidine Blue, Alcian Blue 등) 등 실험동물의 조직병리검사는 동물실험 위수탁 업체에 의뢰가 가능합니다. 동물실험 위수탁 연구를 제공하는 업체의 정보(기관명, 소재지, 분야, 시험검사 품목 등)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시험검사기관 지정현황 사이트(https://www.mfds.go.kr/brd/m_627/list.do)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본인이 속한 연구기관 또는 학교가 자체 보유한 조직병리지원시설이 있을 수 있으니, 연구시설 관리자에게 조직병리지원이 가능한지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 외 포털 사이트에 ‘동물실험 조직병리수탁’ 등을 검색하여 조직병리 수탁 업체를 찾거나, 한국검체검사수탁기관협회 홈페이지에 게시된 협회 가입 수탁검사기관 중에서 실험동물 조직병리를 수행해주는 업체를 찾는 방법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 인터넷에 ‘동물실험 조직병리수탁’ 등을 검색하면 조직병리 수탁 업체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한국검체검사수탁기관협회(https://koarl.or.kr/institute/institute_view.php)’에서는 협회에 가입한 수탁검사기관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마우스 조직병리검사를 의뢰하려고 합니다. H&E stain, 면역염색이 가능한 업체가 있을까요?
    • 동물병리조직 슬라이드 제작해 주는 곳을 찾고 있습니다.
    Print
  • 마우스에 물린 후 응급조치와 소독을 했더라도 물림사고는 인체에 유해한 위험을 내포한 것으로 치명적인 병적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험실 관리자 또는 담당부서에 보고하고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병원에 방문하여 상처 소독 및 치료, 항생제 투여, 파상풍 확인 등 의료진의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동물실험 중 동물에 물린 경우 대처 방안]

     

    일반적인 동물교상은 동물의 이빨에 의한 관통상을 일으켜 힘줄 및 신경손상, 관절을 침범한 장애유발, 피부결손과 오염된 상처로 인한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상처에 따라 세균 감염률이 높고 다양한 바이러스성 전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신체적 상해의 문제 뿐만 아니라 인수공통전염병이나 알레르기 반응에 감염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물과 비누로 씻고 사건보고 및 의료진과 상의 후 상처에 대한 평가, 상처소독 및 치료, 예방적 항생제 투여, 파상풍과 공수병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랫트에게 경구투여 실습 중 랫트에 손가락을 물렸습니다. 병원에 가야할까요?
    • 1. Song HS, Kim JJ, Choi JG, Chun SH, Yee NH. Study on Analysis and Management of the Type of Laboratory Accid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18;33(6):157–162.
    Print
  • 주사 바늘 찔림 후 응급조치와 소독을 했더라도 사용된 주사기의 용도(유해물질, 종양 세포주, stz, mptp 등) 또는 상해부위의 감염노출 등 사고 시 상황에 따라 의료진의 진료가 필요할 수 있으니 실험실 관리자 또는 담당부서에 보고하고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대처하십시오. 뎅기열바이러스 취급 중 주사 바늘에 의한 감염 사례1와 실험동물에 암 이식 중 종양 세포주 취급 주사 바늘 찔림 사고에 의해 인간 종양 세포주가 인체에 감염된 사례2 등이 있습니다.

     

     

    [동물실험 중 날카로운 기구(주사 바늘, suture needle, knife 등)에 찔림 또는 베인 경우 대처 방안]

    상처 부위에서 혈액이 충분히 흘러나오도록 하며 물과 비누로 씻어낸 후 알코올이나 베타딘으로 손상부위를 소독해야 합니다. 사고 발생(찔림, 베임 등) 즉시, 관리자 또는 담당 부서에 보고하고, 지시에 따르도록 합니다.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종양 세포주를 마우스 복강에 투여 중 주사기 바늘에 찔렸는데 응급실에 가야 할까요?
    • 1. 뎅기열바이러스 취급 중 주사 바늘에 의한 감염 사례(국가연구안전정보시스템 연구실 사고사례)
    • 2. 암 이식 중 종양 세포주 취급 주사 바늘 찔림 사고에 의해 인간 종양 세포주가 인체에 감염된 사례. 2020년 한국생물안전안내서 제2판: 414.
       
    Print
  • PET-CT란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로서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약제를 정맥주사로 체내에 투여하여 이 약제의 분포상태를 추적함으로써 질병을 진단하는 검사법입니다. PET-CT 검사는 엄격한 의약품제조기준으로 제조된 방사성 표지물질을 이용합니다. 체내에 투여된 약제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은 일반적으로 매우 짧으며 체내에 오래 지속되지 않아 안전한 물질입니다.
     

    공동활용이 가능한 마우스 PET-CT 를 소유하고 있는 기관은 ZEUX 라는 사이트에서 검색이 가능합니다. ZEUX는 공동 활용 장비의 정보(장비명, 설치장소, 장비용도, 활용범위, 장비소개, 장비사진, 연락처 등) 및 이용 가능 여부 확인 등 연구장비 공동활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비활용 종합포털 사이트입니다. 즉, ZEUX는 전국의 장비보유기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만들어 나가는 클라우드 기반의 장비예약시스템으로 연구장비의 개방과 공유, 장비 이용에 대한 중개 · 알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공동 활용 장비 정보로는 장비명, 설치장소, 장비용도, 활용범위, 장비소개, 장비사진, 연락처 등이 제공됩니다. 

     


    ZEUX 장비활용종합포털(Zone for Equipment Utilization Service): www.zeus.go.kr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다른 기관의 공동 활용이 가능한 공용 장비 목록을 알 수 있을까요?
    Print
  • 제조사료는 수입조제사료(Research Diets, Dyets, Envigo, Altromin 등)와 국내조제사료(연구자가 원하는 조성의 사료 조제 가능)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 ‘실험동물 조제사료’ 를 검색하면 조제사료 공급 업체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외 조제사료 공급 업체]

     

    - Research Diet (대리점: 라온바이오, 새론바이오, 샘타코, 중앙실험동물)

    - Dyets (대리점: 중앙실험동물)

    - Envigo (대리점: 두열바이오, 라온바이오, 새론바이오) 

    - Altromin (대리점: 영바이오 http://www.youngbio.kr)

     


    [국내 조제사료 공급 업체]

     

    - 두열바이오텍(http://www.dybiotech.co.kr)

    - 라온바이오(http://www.raonbio.co.kr)

    - 새론바이오(http://saeronbio.com)

    - 샘타코(http://www.samtako.com)

    - 영바이오(http://www.youngbio.kr)

    - 중앙실험동물(https://labanimal.co.kr)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High Fat Diet 사료를 만들어서 마우스에게 사용하려고 합니다. 주문 가능한 회사를 알려주세요
    • 마우스 사료에 특정 성분을 높이려고 하는데 국내에서 주문 사료 구입 가능한 곳이 있나요?
    Print
  • 비임상시험(동물실험)에는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의 안전성, 유효성 평가, 비임상 GLP 독성시험 등이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인허가를 받아야 하는 비임상시험의 경우, 시험과정 및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 지정을 받은 ‘비임상시험실시기관’ 에 위탁을 해야 합니다. 이러한 ‘비임상시험실시기관’ 정보는 관련 법령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에 공고되어 있으며, ‘의료기기 비임상시험실시기관’과 ‘의약품분야 비임상시험실시기관’으로 나누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해당 공고를 통해 비임상시험실시기관의 기관명, 소재지, 시험분야, 시험검사 품목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임상시험실시기관으로 지정되지 않은 동물실험대행기관은 포털 사이트에서 ‘비임상 CRO’, ‘동물실험대행’ ‘동물실험서비스’ 등을 검색하면 동물실험위탁 가능 업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시험검사기관 지정현황 사이트]

     - 바로가기: https://www.mfds.go.kr/brd/m_627/list.do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항암효능 관련 동물실험을 진행하고자 하는데 동물실험 비임상 전문 수탁기관 목록을 알려주세요
    • 마우스 관리와 Mating, 감염실험을 진행해주는 동물실험 대행업체를 알고 싶어요
    Print
  • 유전자변형마우스(Genetically-Engineered Mouse; GEM)에는 TG(Transgenic) 마우스, KO(Knock-Out) 마우스, KI(Knock-In) 마우스가 있으며, 국내에서 제작 의뢰가 가능한 곳은 마크로젠, Cyagen, 우정바이오, 잼크로 등이 있습니다. 또한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KMPC)에서는 유전자변형마우스(GEM) 제작을 무상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그 외 국내 주요 연구소들은 자체적으로 유전자변형마우스 제작 서비스를 지원해주는 부서가 있으며, 해당 연구소와 공동연구 등을 통해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유전자변형마우스(GEM) 제작 의뢰 기관]

     

    1) 마크로젠 

      - 바로가기: www.macrogen.co.kr/ko/business/research/model 

    2) Cyagen 

      - 바로가기: https://korea.cyagen.com/

      - 국내 대리점: 중앙실험동물(https://labanimal.co.kr), 라온바이오(http://www.raonbio.co.kr)

    3) 우정바이오 실험동물센터 

     - 바로가기: http://bio.woojungbsc.co.kr/animal/disease_modeling.php

    4) 젬크로 (GEMCRO) 

      - 바로가기: https://www.youtube.com/channel/UCkMaUM2oUL0g5ZEIyRgy3hg/about

    5)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KMPC) 

      - Mouse One Portal(MOP): 접수된 유전자에 대해 지원 조건, 지원 우선 순위 가이드라인 등에 따라 유전자선정위원회 심사를 통해 제작 여부가 결정됨

      - MOP 바로가기: https://mouseinfo.kr/

      - 유전자변형마우스(GEM) 제작 관련 문의: mouseinfo@snu.ac.kr, 02-885-8396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KO, TG 마우스 제작 업체를 알려주세요
    • 유전자 변형 마우스는 어디서 제작하나요?
    Print
  • (재)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KMPC)에서 운영하고 있는 마우스종합서비스포털 웹 시스템인 Mouse One Portal(MOP)에서 유전자변형마우스(GEM) 보유현황 및 정보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실험동물자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에 동의한 국내 보유 유전자변형마우스(GEM)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Mouse One Portal (MOP)]

     

    국내 마우스 자원 총괄 관리 시스템인 Mouse One Portal은 유전자변형마우스(GEM) 정보를 통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search engine으로 아래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유전자 이름으로 유전자변형마우스의 제작 여부/보유 기관 검색 

    - 보유한 마우스 정보를 등록해 마우스 자원을 타 연구자들과 공유 

    - 요청한 마우스의 제작 진행 상황 확인

    - 바로가기: https://mouseinfo.kr/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실험동물자원센터]

     

    - 바로가기: https://mouse.kribb.re.kr/www/index.html?pg_idx=48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국내에서 KO 마우스나 TG 마우스 보유현황이나 정보를 알 수 있는 사이트나 검색방법이 있을까요?
    • Calretinin, Calbindin, Pavalbumin과 같은 Ca Binding Protein의 역할을 연구하기 위한 유전자변형마우스를 찾고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