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재생 정지 다음

닫기

지식 FAQ

  • 동물별
  • 분야별
  • UV, 소독제, 화학물질 접촉 등 피부에 각질을 유발하는 다른 요인이 없었다면 면역부전마우스에서 병원성을 일으키는 Corynebacterium bovis 감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병변이 있는 피부나 인후두에서 채취한 검체로 PCR 검사를 진행하거나, 배양 후 MALDI-TOF MS, API Kit Test, 16S rRNA Sequencing을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전염성이 강하고 근절하기 어려운 세균이므로 감염된 동물의 실험 지속 여부에 대해서는 반드시 기관과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림 1. Corynebacterium bovis에 감염된 누드 마우스

    (출처: Hedrich H. The Laboratory Mouse. 2nd ed. Academic Press; 2012:486.)

     

    [FAQ 동영상으로 보기: 바로가기]

    • NSG로 번식과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데 동물상태가 좋지 않아요. 무슨 문제가 있을까요?
    • 1. Manuel CA, Bagby SM, Reisinger JA, et al. Procedure for Horizontal Transfer of Patient-Derived Xenograft Tumors to Eliminate Corynebacterium bovis. J Am Assoc Lab Anim Sci. 2017;56(2):166-172.
      2. Fagre AC, Pugazhenthi U, Cheleuitte-Nieves C, et al.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orynebacterium bovis Isolates from Immunodeficient Rodents. Comp Med. 2021;71(3):210-214.
      3. Pearson EC, Pugazhenthi U, Fong DL, et al. Metaphylactic Antibiotic Treatment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Corynebacterium bovis to Immunocompromised Mouse Offspring. J Am Assoc Lab Anim Sci. 2020;59(6):712-718.
      4.  Besch-Williford C, Franklin CL. Aerobic Gram-Positive Organisms. In: Fox JG, Barthold SW, Davisson MT, Newcomer CE, Quimby FW, Smith AL, eds. The Mouse in Biomedical Research. Academic Press; 2007:389-406.
      5. Burr HN, Lipman NS, White JR, Zheng J, Wolf FR. Strategies to prevent, treat, and provoke Corynebacterium-associated hyperkeratosis in athymic nude mice. J Am Assoc Lab Anim Sci. 2011;50(3):378-388.
      6. Burr HN, Wolf FR, Lipman NS. Corynebacterium bovis: epizootiologic features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an enzootically infected rodent room. J Am Assoc Lab Anim Sci. 2012;51(2):189-198.
      7. Clifford CB, Walton BJ, Reed TH, Coyle MB, White WJ, Amyx HL. Hyperkeratosis in athymic nude mice caused by a coryneform bacterium: microbiology, transmission, clinical signs, and pathology. Lab Anim Sci. 1995;45(2):131-139.
      8. Field G. An update on scaly skin disease. ACLAM Newsletter. 2006; 37:5–8.
      9. Field K, Greenstein G, Smith M, et al. Hyperkeratosis-associated coryneform in athymic nude mice. Lab Anim Sci. 1995;45:469.
      10. Kim TH, Kim DS, Han JH, et al. Detection of Corynebacterium bovis infection in athymic nude mice from a research animal facility in Korea. J Vet Sci. 2014;15(4):583-586.
       
    Print
  • 제브라피쉬 시스템의 물고기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조건입니다. 하루 중 아픈 물고기를 치료할 수 있는 경우가 여러 번 있습니다. 먹이를 주고, 청소하고, 탱크 또는 장비를 조립하는 동안 또는 어항에 있을 때마다 비정상적인 물고기를 발견하는 경우, 아픈 물고기의 위치를 표시하여 가능한 한 빨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개체군에서 아픈 물고기를 제거하는 것이 병원체 및 불리한 환경 조건을 감지하고 질병 확산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아래 표와 같이 비정상/병든 물고기의 징후를 확인하고 치료가 가능한 물고기는 깨끗하고 건조된 그물을 이용하여 새로운 탱크에 옮겨 격리한 후 치료과정을 진행합니다. 죽은 물고기는 다른 물고기에 의해 빠르게 잡아먹혀 질병 전염의 중요한 원인이 되므로 발견 즉시 제거합니다. 
     

     

    • 매일 제브라피쉬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Print
  • 현재 어류 시스템에서 발견되는 감염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제브라피시 종에 고유한  P. neurophilia 라는 미포자충문(Microsporidia)에 속하는 포자를 형성하는 단세포 기생충 감염이 있습니다. P. neurophilia 감염은 어류 성체 중추신경계(CNS)에서 흔히 관찰되며, 이 기생충으로 인한 질병은 양성영향부터 쇠약, 골격 기형, 심지어 사망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감염 초기 단계에서 보여주는 증상이 없어 초기대응이 불가능하여 집단 발병을 일으키고 어류 시설에 심각한 위생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나 감염을 없애기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제브라피쉬 시스템의 기생충 감염여부를 초기에 진단할 수 있는 검사법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생충에 의한 감염은 배아의 경우 수정 후 12~120 시간 내에 감지가 되기도 하며 성체의 경우 척수, 신경 및 전뇌, 망막상피세포 등의 다양한 조직에서 발견됩니다.  

     

    그림 1. 제브라피쉬 배아(a) 및 성체(b)에서 기생충 Pseudoloma neurophilia에 의해 감염되는 조직 

    * 그림출처: Caballero-Huertas M et al. Rev Aquac. 2021;13:1816-1827.

     

     

    제브라피쉬의 배아 및 뇌와 척수를 해부하여 Proteinase K 처리 후 PCR을 진행합니다. 

    표 1. P. neurophilia 진단을 위한 Primer

     

     

    P. neurophilia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PCR 조건은 아래와 같고 감염이 되었을 경우, PNA의 primer를 사용하였을 경우 441bp의 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 2. P. neurophilia  진단을 위한 PCR cycle

    • 제브라피쉬의 시스템의 안전 여부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Print
  • 외부에서 새로운 제브라피쉬의 알을 제공받았을 때나 라인을 유지할 알을 받았을 경우, 혹시 모를 감염에 대비한 어류 개체군 내에서 병원균의 전파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배아를 28.5℃의 온도에 적응시킵니다. 표백을 진행하는 배아는 24~30hpf 단계가 가장 적합하며 부화를 시작하는 경우에는 표백해서는 안됩니다. 
    2) 표백을 진행할 테이블 및 기구를 70% alcohol로 소독합니다. 
    3) 표백 전 죽거나 수정이 안된 알을 제거한 후 (매우 중요함),  load solution(적재용액 : 0.1% methylene blue in 0.5X embryo media (E2))이 들어있는 1번 통에 배아를 넣어줍니다. 
    4) Bleach solution(표백용액 : 0.59ml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grade bleach를 1L의 RO water에 섞어주며 매번 사용 직전에 만듭니다)에 배아를 옮겨 10분 동안 표백합니다. 이 때 배아가 움직이면 상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움직임을 최소화하도록 합니다.

    5) 배아를 중화용액(1g의 sodium thiosulfate를 0.5X E2 embryo medium 2L에 녹여줍니다.)에 옮겨 1초동안 저어줍니다. 
    6) Pronase solution(0.68ml pronase stock solution을 500ml embryo media에 섞어줍니다.)에 옮겨 1분동안 저어줍니다. 
    7) 배아를 load solution(적재용액 : 0.1% methylene blue in 0.5X embryo media (E2))에 옮겨 충분히 헹궈줍니다. 
    8) 새로운 페트리접시에 배아를 옮겨 배양합니다. 

     

     

    • 제브라피쉬 배아의 위생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요?
    Print
  • 전체 유전자 이름은 소문자 이탤릭체로, 유전자 기호는 3개 이상의 소문자로 역시 이탤릭체로 표시합니다. 문자는 다른 명명된 제브라피시 돌연변이 및 유전자와 관련하여 고유해야 합니다. 유전자 기호는 확립된 이종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마우스 또는 인간의 유전자 약어와 동일해서는 안 됩니다. 여기서 유전자 기호는 이종형의 기호와 일치해야 합니다. 

     

    Zebrafish 유전자 지정에는 d, dr, z 또는 zf와 같은 종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서는 안 됩니다. 유전자 이름이나 기호에 마침표, 하이픈 등의 구두점을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유전자 이름은 ZFIN에 등록되어야 합니다. 적절한 명명법에 대한 질문이나 조언이 필요하면 nomenclature@zfin.org 에 문의합니다.


    유전자는 가능할 때마다 포유류의 상동체 이름을 따서 명명되어야 합니다. 포유류의 상동체가 알려진 경우에는 모든 문자를 이탤릭체와 소문자로 표시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이름과 약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유전자 계열의 구성원은 순차적으로 번호가 매겨집니다.
     

    예) 이름: engrailed 1a, engrailed 2b ,  기호: eng1a, eng2b

     

    단백질 기호는 유전자 기호와 동일하지만 이탤릭체가 아니고 첫 글자가 대문자입니다. 제브라피시와 포유류 명명 규칙에 차이가 있으니 주의합니다.  

     

     

    • 논문에서 사용되는 제브라피쉬 유전자 표기 방식은 어떤가요?
    Print
  • 제브라피쉬의 치어부터 성체까지 영양분이 풍부하여 면역력을 높여주고 치어 탈락률을 낮춰주는 방법 중 하나가 브라인 쉬림프를 살아있는 상태로 급여하는 것입니다. 특히 브라인 쉬림프 이외 이물질이 포함되기 힘들어 전염병의 위험에서 안전하고 소화가 잘 되어 소화불량에 걸릴 일도 없기 때문에 갓 태어난 브라인 쉬림프가 가장 좋은 먹이입니다. 제브라피쉬를 대규모의 사육시스템에서 키우는 경우, 브라인 쉬림프도 대형 배양기를 사용하여 키우게 되나 소규모의 배양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경우 장소나 인력의 문제로 대규모의 배양시스템을 연속해서 사용하기 힘든 경우가 많아 살아있는 브라인 쉬림프를 급여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작은 규모의 실험실을 위한 소규모 배양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 하비알테미아 브리더 (주광성의 알테미아의 성질을 활용한 부화기)

     

    빛을 향해 열심히 헤엄치는 성질이 있는 알테미아들이 부화가 되면 격벽을 유영하면서 빛이 있는 곳으로 모이게 되고 껍질이 분리된 채 가운데의 뜰채 망 안으로 기어들어 오는 부화기로 적은 수의 배아를 키울 때 유용합니다. 

     

     

     

    2. 알테미아 블렌더

     

    2리터의 부화기(ZISS 알테미아 블렌더)로 물 1L : 천일염 30g : 소다 1g의 비율로 소금물을 만들어주고 알테미아를 약 3g 정도 넣어준 후 28~30℃에서 24~30시간 기포기를 넣어서 부화시킵니다. 부화된 브라인 쉬림프는 갓 태어났을 때 0.4mm 정도의 크기이므로 0.1~0.2mm 사이의 거름망을 사용해서 걸러준 후 염분 제거를 위해 몇 번 헹구어 낸 후  급여하거나 냉동하여 보관합니다. 

     


     

     

    • 소규모 실험실에서 제브라피쉬의 먹이를 어떻게 제공할 수 있을까요?
    Print
  • 제브라피쉬 알은 생쥐 난자에 비해 직경이 20배 이상 큽니다 (평균 0.7 mm 정도입니다). 따라서 미세조작 연구에 매우 유용합니다. 숙련된 연구자의 경우 1시간 내에 수백개에 달하는 제브라피쉬 알에 다양한 유전물질 혹은 화학물질을 미세주입 할 수 있습니다. 1 μІ의 용액이면 200~400개의 알에 미세주입을 할 수 있습니다. 이것보다 많은 양은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어 권장되지 않습니다.


    미세조작을 위한 도구는 대부분 고가입니다. 해부현미경, injector, micromanipulator 등이 필요합니다. 기타 인젝션 실험에 도움이 되는 도구는 인젝션용 거푸집이 있는데  이것은 지노믹디자인(http://zebrafish.co.kr/)에서 구매가 가능합니다. 인젝션 거푸집을 이용해서 인젝션 트레이를 만들어 사용하면 실험이 매우 간편해 집니다.

     

     

    1) 아래와 같이 거푸집 홈이 아래에 위치하도록 2% agarose(제브라피쉬 배양액 1L + 1% Methylene Blue 2ml)에 둥둥 띄웁니다. 이때 2% agarose는 충분히 식혀준 상태에서 인젝션 거푸집 올려놔야 합니다. 거푸집이 플라스틱 재질이기 때문에 너무 뜨거운 agarose 위에 올려놓게 되면 활처럼 휘어버릴 수 있습니다.

     


    2) 거푸집을 조심스럽게 제거합니다.
    3) Agarose tray에 인젝션 거푸집 모양의 홈이 생겨나게 됩니다. 이 홈에 제브라피쉬 알을 올려놓고 인젝션 실험을 수행합니다. 보통 하나의 열에 50개 이상의 알을 올려놓을 수 있습니다. 인젝션용 주사기는 아래 그림처럼 위치해야 합니다.

     


    4) 인젝션이 끝나면 methylene blue가 첨가된 배양액을 agarose tray에 충분히 부어줍니다. 이렇게 1년 이상 agarose 트레이를 4°C에서 보관할 수 있습니다. Methylene blue는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이 자라는 것을 방지해 줍니다. 

     

    실험은 아래 그림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Agarose를 methylene blue가 함유된 배양액에 녹인 후 충분히 식혀준 다음 1회용 플라스틱 페트리디쉬 위에 부어줍니다. 그 후 인젝션 거푸집을 올려놓고 완전히 굳으면 거푸집을 제거합니다. 

     

     


     

    • 미세주입 실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까요?
    Print
  • 제브라피쉬는 조직 재생연구에 매우 유용한 개체입니다. 현재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는 조직은 간, 심장, 꼬리지느러미 등이 있습니다.

     

    간 재생 연구의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박테리아 유전자인 nitroreductase를 간에 특이적으로 발현시키고 nitroreductase의 기질인 metronidazole(MTZ)를 제브라피쉬 배양액에 넣어줍니다. Nitroreductase는 MTZ가 존재하는 상황에서만 강한 독성을 나타내게 됩니다 (MTZ는 현재 박테리아에 감염된 환자 치료용으로도 사용 중에 있습니다). 따라서 nitroreductase가 발현된 간세포만 MTZ 존재 하에서 세포사멸을 겪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방법으로 간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을 조직 제거(ablation)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제거된 간은 MTZ가 없는 배양액에서 제브라피쉬를 다시 키우게 되면 간 조직이 서서히 회복됩니다. 이때 다양한 약물 혹은 유전자발현 조절을 통해 간 재생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기능과 약물의 효험성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른 재생조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부위는 바로 꼬리 지느러미 입니다. 꼬리 지느러미를 이용한 조직재생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 1.).

     

    1) 성체의 꼬리 지느러미를 분홍색 방향으로 잘라줍니다 (보통 가위를 사용합니다).

    2) 잘려진 꼬리 지느러미 부위에서는 상처회복 과정(wound healing)이 일어나고 그 후 조직재생이 시작됩니다.

    3) 조직재생은 blastema 라는 줄기세포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세포는 상처가 난 곳에서 계속 분열하여 쌓이게 됩니다. 이 세포는 줄기세포이기 때문에 아직 미분화세포에 가깝습니다.

    4) 이렇게 쌓인 blastema는 분화하며 잘려나간 조직을 대신하게 됩니다. 약 일주일이 지나면 꼬리 지느러미는 거의 완벽하게 회복됩니다.   

     

    심장도 재생연구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방법으로 심장에 상처를 주고 재생연구를 수행하게 됩니다.
     

     

     

    그림 1. 제브라피쉬 꼬리 지느러미 재생 단계

    * 그림출처: Sehring IM, Weidinger G. Wiley Interdiscip Rev Dev Biol. 2020;9(1):e367.

    • 제브라피쉬에서 재생되는 조직은 무엇이 있나요?
    • 1. Wang S, Miller SR, Ober EA, Sadler KC. Making It New Again: Insight Into Liver Development, Regeneration, and Disease From Zebrafish Research. Curr Top Dev Biol. 2017;124:161-195.
      2. Sehring IM, Weidinger G. Recent advancements in understanding fin regeneration in zebrafish. Wiley Interdiscip Rev Dev Biol. 2020;9(1):e367.
      3. Ross Stewart KM, Walker SL, Baker AH, Riley PR, Brittan M. Hooked on heart regeneration: the zebrafish guide to recovery. Cardiovasc Res. 2022;118(7):1667-1679.
       
    Print
  • 대단위 제브라피쉬 사육을 위해서는 물순환 시스템을 갖춘 아파트형 사육시설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다양한 제품을 국내외 회사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물론 국산제품이 저렴하며 제품의 품질도 크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제브라피쉬 사육시설을 제작 및 판매하는 국내 기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에스앤에프 (S&F, http://companysnf.com/index.php): 국내에서 가장 먼저 제브라피쉬 사육시설을 제작 판매하던 곳입니다. 지노믹디자인에서 에스앤에프(S&F)로 이전되었습니다.
      2) 우정 E&C (https://enc.woojungbsc.co.kr/bbs/bbs/board.php?bo_table=product&wr_id=34&sca=1010)
      3) ㈜21세기하이테크 (http://21cht.com/249)

     

     

    [국내 CRO]

     

    국내에서 제브라피쉬를 이용하여 임상시험을 대행해주고 있는 회사는 대표적으로 제핏(http://www.zefit.co.kr/)이 있습니다. 이 회사는 제브라피쉬를 시험동물로 이용해서 약물의 독성여부, 치료효과 등을 대행해주고 있습니다. 현재 제브파리쉬는 노바티스, 화이자등 글로벌 제약회사에서 초기 약물연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회사는 생쥐를 이용했을 때 보다 연간 1억불 이상의 R&D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제브라피쉬를 전문영역으로 실험대행 서비스를 수행중인 회사로는 대표적으로 지노믹디자인(http://zebrafish.co.kr/)이 있습니다. 형질전환 개체 제작 서비스, CRISPR/Cas9을 이용한 Knock-out 서비스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국내에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임상시험 대행기관(CRO)이 있나요?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