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체 정보의 분석은 크게 두가지 단계로 나뉘어집니다.
1) 단일세포를 분리하고 RNA sequencing을 통해 전사체 정보를 추출하는 실험적 단계
2) 컴퓨터를 이용하여 sequencing을 통해 얻어진 전사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적 단계
실험적 단계에서 예쁜꼬마선충의 단일세포 수준 전사체를 얻기 위해서는 큐티클 층을 제거하는 작업을 먼저 거쳐야 합니다. 큐티클 층 제거 이후 단일 세포들을 10x chromium system 등의 방법을 통해 RNA sequencing을 진행하고 전사체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Sequencing 결과로 얻어진 데이터 파일들은 대표적으로 ‘R’ 프로그램의 ‘Seurat’, ‘monocle3’ 등의 package를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실험적 단계없이 이미 출판된 논문의 data를 이용하여 분석만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논문 method의 data availability 항목에서 NCBI GEO 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번호를 통해 필요한 single cell RNA sequencing data를 다운로드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쁜꼬마선충은 single cell RNA sequencing를 통해 L2 단계에서 처음으로 세포타입별 전사체 변화가 밝혀졌고, L4 단계의 예쁜꼬마선충에서는 모든 신경의 전사체 변화와 새로운 신경 타입별 마커가 발굴이 되기도 했습니다. 최근에는 성체 예쁜꼬마선충의 노화에 따른 각 세포타입별 전사체 변화까지 보고된 바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