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재생 정지 다음

닫기

지식 FAQ

  • 동물별
  • 분야별
  • 마우스 암 전이 모델에는 1)자발적 전이(Spontaneous Metastasis) 모델, 2)실험적 전이(Experimental Metastasis) 모델, 3)유전자변형마우스(GEM) 모델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발적 전이 모델은 사람의 암 전이와 유사하게 원발 종양으로부터 전이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전이의 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험적 전이 모델은 장기 특이적(Site Specific) 전이를 빠르게 유발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암세포와 종양 모델의 종류가 다양합니다. 유전자변형마우스 모델은 natural microenvironment에서 종양이 발달될 수 있으며, 종양 이질성(Tumor Heterogeneity)을 잘 나타내 주는 모델로 알려져 있습니다. 


    * 전이(Metastasis)란 원발 종양(Primary Tumor)에서 암세포가 분리되어(또는 떨어져 나와)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장기에서 종양이 형성(Secondary Tumor) 되는 것을 의미하며 전이의 단계는 Invasion -> Intravasation -> Circulation ->                        Extravasation -> Micrometastasis -> Colonization 과정(그림 1.)을 거치게 됩니다.


    [전이 모델에 대한 세부 내용은 아래 표 참고]
      - 모델별 장단점: 표 1., 전이 모델 예: 표 2.

     

    * 그림 1.: 암 전이 단계

     

     

    * 표 출처:  Gómez-Cuadrado et al. Dis Model Mech. 2017;10(9):1061-1074.

    • 마우스에서 폐암 전이 모델은 어떻게 만들 수 있나요? 마우스 꼬리 정맥에 암세포를 주입하면 폐로 전이가 되나요?
    • 간암 전이 모델은 어떻게 만드나요?
    • 1. Gómez-Cuadrado L, Tracey N, Ma R, Qian B, Brunton VG. Mouse models of metastasis: progress and prospects. Dis Model Mech. 2017;10(9):1061-1074.
       
    Print
  • 무균동물(Germ-free Animal)이란 검출 가능한 미생물(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기생충 등)이 없는 동물을 의미합니다. 무균시설에서 제왕절개나 자궁절제술에 의해 생산되어 Isolator 환경에서 사육되어야 합니다. 
    참고로 미생물 상태에 따른 동물은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림출처: University of Michigan. Germ-Free Mouse Facility. https://animalcare.umich.edu/business-services/germ-free-mouse-facility

    • Germ-free 마우스는 어디서 키워야 하나요?
    Print
  • 눈, 고환과 같은 장기는 Bouin’s solution 또는 Davidson’s solution을 이용하여 고정해야 합니다. 

     

    • 마우스, 랫드의 눈이나 고환을 포르말린에 고정해도 될까요?
    • 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실험동물의 부검 절차 및 육안 소견 작성을 위한 기술지침, 2023. 8.
      2. OECD/OCDE Test No. 421. Reproduction/Development Toxicity Screening Test. In: OECD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1995.
    Print
  • 1. 영장류 채혈 전후 고려사항 
      - 채혈 전 동물의 건강상태(탈수 및 빈혈, 비만, 질병 등)를 확인한다.
      - 10% 이상 채혈을 하는 경우에는 등장성 수액 (Isotonic Fluids: 0.9% saline 이나 Hartmann 수액  등)을 처치해주는 것이 좋다.

     

    2. 채혈부위
     - 대퇴 정맥(Femoral Vein)
     - 요골측피부정맥(Cephalic Vein)
     - 복재정맥(Saphenous Vein)

     

     

    3. 채혈량과 휴지기
     

    • 영장류에서 반복채혈은 얼마나 자주 할 수 있나요?
    • 1. Diehl KH, Hull R, Morton D, et al. A good practice guide to the administration of substances and removal of blood, including routes and volumes. J Appl Toxicol. 2001;21(1):15-23.
    Print
  • [영장류 생애주기(유아기, 청소년기, 성인기, 노령기)]

     

    • 원숭이의 노령기는 언제부터 인가요?
    • 1. Fortman JD, Hewett TA, Halliday LC. The Laboratory Nonhuman Primate. 2nd Edition. CRC Press; 2018.
      2. Alan F. Nonhuman Primate Evaluation and Analysi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8.
    Print
  • 1. 원숭이 번식군 구성
     - 마모셋 원숭이(Common Marmoset)는 일부일처제(수컷1+암컷1, Monogamy)로 번식하고, 게잡이원숭이(Cynomolgus Monkey)나 붉은털원숭이(Rhesus Monkey)는 일부다처제 (수컷1+암컷 >2, Multigamy)로 번식합니다.
     

    2.  원숭이 번식생리 

     

    3. 임신 진단방법
      1) 복부촉진(마모셋원숭이): 하복부 복부촉진을 통해 임신유무를 확인(대장 내 소화물과 감별 필요)
      2) 영상진단
        - 초음파 검사: 임신초기 진단에 유용하며, 산자수  및 태아지표(심장박동, Biparietal Diameter 등) 확인
        - 방사선 검사: 산자수 확인 및 태아의 골반 통과 평가 등에 활용

     

    • 마모셋 원숭이 번식은 어떻게 하나요?
    • 1. Wayne RB. Comparative Physiology, Growth, and Development. In: Bluemel J, Korte S, Schenck E, Weinbauer GF, eds. The Nonhuman Primate in Nonclinical Drug Development and Safety Assessment. Academic Press; 2015.
      2. Fortman JD, Hewett TA, Halliday LC. The Laboratory Nonhuman Primate. 2nd Edition. CRC Press; 2018.
    Print
  • 1. 영장류 정의   


     - 평편한 발톱이 있고(유조류), 쇄골이 있고, 태반을 갖는 포유류
     - 적어도 한 쌍의 사지에서 가장 안쪽의 발가락이 서로 마주 볼 수 있어야함
     - 뼈로 안와가 형성되어 있음

     

     

    2. 영장류 분류  


     - Non-Human Primate : 사람을 제외한 영장류
     - 연구 활용 영장류 : 구세계 원숭이, 신세계 원숭이

     

     

    3. 영장류 실험 전 점검 사항


     1) 정말 영장류 실험이 필요한지? 다른 설치류나 dog, rabbit 등으로 가능한지 확인
        - In silico 분석이나 문헌조사 : DNA, RNA, and/or protein sequence homology, MOA(mode of action)  문헌 분석 
        - In vitro 분석이나 면역조직학적 분석 : MOA(mode of action) 기전 및 시료 분석법 검증
     2) 관계법령에 대한 이해
        - 환경부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농림축산식품부 : 동물보호법, 가축전염병 예방법, 영장류 수입위생 조건
        - 식약처 :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
     3) 어디 시설에서 진행할 것인지? (자체 시설 또는 외부 시설)
     4) 연구기간과 예산 고려  
     5) 영장류 실험 종료 신고 : 환경부 

     

    • 영장류 실험, 어디서부터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
    • 1. Fox JG, Anderson LC, Otto GM, Pritchett-Corning KR, Whary MT. Laboratory Animal Medicine: A volume in American College of Laboratory Animal Medicine. Elsevier; 2015.
      2. 식품의약품안전처. 동물실험 관련 국내 법령.제도 등에 관한 종합 안내서 (2021).
    Print
  • 마우스의 소변을 채취하는 방법으로는 케이지를 이용하거나 모래나 랩을 이용하는 등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과 직접 마우스에서 채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메타볼릭 케이지(Metabolic Cage)를 이용하는 방법
    분변을 채취할 수 있게 제작된 메타볼릭 케이지에 마우스를 한 마리씩 넣어 일정시간동안 소변을 모으는 방법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소변을 모을  수 있으나 메타볼릭 케이지를 구비해야 합니다.  또한 낯선 케이지에 장시간 마우스를 넣어두어야 하여 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고 여러 마리의 소변을 채취할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2) 랩을 이용하는 방법
    종이 위에 랩을 깔고 그 위에 마우스를 올려놓은 후 마우스가 소변을 보면 피펫을 이용해 모으는 방법으로 한 마리 또는 여러 마리의 소변을 채취할 수 있습니다. 관찰하면서 바로 소변을 채취하게 되면 오염의 위험도가 떨어지고 한번에 여러 마리의 소변을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랩이 찢어져 소변이 샐 수도 있습니다. 
     

    3) 소수성의 모래를 이용하는 방법
    소수성 모래(Lab Sand) 를 깔아 놓고 마우스를 올려두면 소변이 모래 위에 남아 있게 되어 이를 피펫을  이용하여 채취하는 방법으로 랩을 이용하는 방법과 비슷하지만 효율적이고 간단하며 오염이 생길 확률이 매우 적습니다.
     

    4) 마우스에서 직접 채취하는 방법
    마우스를 손으로 보정 후 하복부를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방광을 압박하여 소변이 나올 때 petri dish 혹은 cup에 직접 소변을 모으는 방법으로 소변의 양이 적을 수 있습니다.
     

    5)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취하는 방법
    주사기를 이용하여 바로 마우스의 방광을 천자하여 소변을 직접 채취하는 방법으로, 가장 침습적이며 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을 가능성이 높고 주사바늘이 방광벽을 뚫을 때 혈액 등이 유입되어 샘플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마우스 오줌을 모으는 방법은?
    • 1. Kurien BT, Scofield RH. Mouse urine collection using clear plastic wrap. Lab Anim. 1999;33(1):83-86.
      2. Hoffman JF, Fan AX, Neuendorf EH, Vergara VB, Kalinich JF. Hydrophobic Sand Versus Metabolic Cages: A Comparison of Urine Collection Methods for Rats (Rattus norvegicus). J Am Assoc Lab Anim Sci. 2018;57(1):51-57.
      3. Doyle N, Germain C, Barma M-C, et al. Charles River Laboratories. Urine Collection for Group-Housed Mice in Toxicology Studies Using the LabSand Techniques - An Alternative Method.
      4. Chew JL, Chua KY. Collection of mouse urine for bioassays. Lab Anim (NY). 2003;32(7):48-50.
      5. The Jackson Laboratory. ACUC Routine Procedure-Urine Collection. 
    Print
  • 마우스에서 털이 빠지는 원인은 다양하며 그 중 피부에 별다른 병변이 보이지 않으면서 털이 빠지는 경우 개체간의 털뽑기 증상인 barbering에 의한 가능성을 확인해봐야 합니다.


    Barbering은 우세한 마우스가 서열이 낮은 마우스의 털과 수염을 씹는 행동으로, 암컷에서 발생빈도가 높으며 유전적 배경의 영향을 받기도 하여 C57BL/6J와 같은 유전자형에서 더 많이 발생됩니다.

    Barbering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털을 뽑는 마우스를 분리해 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동물들이 숨을 수 있는 마우스 하우스 등의 은신처와 씹고 뜯고 놀 수 있는 nesting용 enrichment 등을 공급해주는 방법도 추천됩니다. 


    만일, 한 cage 내에 한마리를 제외하고 나머지 개체들은 모두 탈모가 있을 경우 탈모가 없는 마우스가 털을 뽑는 개체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 개체를 별도의 cage에 분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그 밖에도 탈모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C57BL/6와 같은 계통은 특발성 피부병변으로 궤양성 피부염(Ulcerative Dermatitis)이 일어나기도 하며 이로 인한 탈모가 발생되기도 합니다. 또한 스트레스로 인해서도 탈모가 유발될 수 있으며 계절, 습도, cage 환경, 사료와 같은 환경적 요소들도 탈모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면역결핍 마우스에서 Corynebacterium bovis 등의 세균에 감염되었을 경우 탈모가 동반된 hyperkeratotic dermatitis가 발생되기도 합니다. 비타민 B 복합체 결핍, pantothenic acid(Vit B5) 결핍, 아연 결핍 등 비타민, 미네랄의 결핍으로도 탈모가 발생될 수 있으니 동물의 계통 특이성과 사육환경 등을 고려하여 탈모의 원인을 살펴보기 바랍니다. 
     

    • 마우스 얼굴에 탈모가 관찰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1. Clark LH, Schein MW. Activities associated with conflict behaviour in mice. Anim Behav. 1966;14(1):44-49.
      2. Hauschka TS. Whisker-eating mice. Journal of Heredity. 1952;43(2):77–80.
      3. Militzer K, Wecker E. Behaviour-associated alopecia areata in mice. Lab Anim. 1986;20(1):9-13.
      4. Clifford CB, Walton BJ, Reed TH, Coyle MB, White WJ, Amyx HL. Hyperkeratosis in athymic nude mice caused by a coryneform bacterium: microbiology, transmission, clinical signs, and pathology. Lab Anim Sci. 1995;45(2):131-139.
      5. Sargent JL, Koewler NJ, Diggs 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Risk Factors and Treatments for Ulcerative Dermatitis in C57BL/6 Mice. Comp Med. 2015;65(6):465-472.
       
    Print
  • 동물실험 기관에 상시고용수의사로 등록된 수의사가 있는 경우 수의사법 제12조에 따라 상시고용수의사에게 실험과정에 필요한 약품에 대한 처방전 발행을 요청하여 동물용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만약 기관에 상시고용수의사가 없는 경우 동물병원과 같이 처방전을 발행할 수 있는 기관의 수의사와 협약을 맺어 처방전을 발행받는 방법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동물용 의약품에 대한 처방전 유효기간 및 약품처방 일수는 최대 7일이며 동물용 마취제(18종), 호르몬제(35종), 항생/항균제(32종), 생물학적 제제(21종), 전문지식이 필요한 동물의약품(47종)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 필요한 생물학적 제재가 있는데 구매가 불가능합니다. 어떻게 하면 되나요?
    • 1. 수의사법 제12조, 수의사법 시행규칙 제12조 2항, 제12조의2
      2. 식품의약품안전처. 동물실험관련 국내 법령 제도 등에 관한 종합안내서, 2021.
    Print